2025.05.26 (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국회

바우처 수급 관리 부실 도마.. 담당 인력 겨우 10여명 불과

최근 5년간 사회서비스 부정수급 적발액 약 700억원
- 백종헌 의원,“부정수급 담당 인력 확충 및 부정수급 사각지대 해소하는 공익신고가 더욱 활성화될 수 있도록 관련 예산 증액 방안 면밀히 검토할 것”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백종헌 국회의원(국민의힘, 부산 금정구)이 한국사회보장정보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사회서비스 바우처 현황’에 따르면 약 150만건에 이르는 부정수급이 발생하여 누적 적발금액이 약 700억원에 달하지만 이를 적발하는 담당 인력은 10여명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시스템은 돌봄, 일상생활 지원, 사회적응지원, 문화체험 등 정부와 지자체의 사회서비스에 대한 신청, 이용, 비용 지불정산 등의 전 과정을 전산으로 처리하는 수단이다.

최근 5년간 연도별 사회서비스 바우처 부정수급 현황에 따르면 적발기관 수가 2019년 142개소에서 2023년 176건으로 24% 증가하고 있었다.
 
세부적으로 적발기관 현장조사 시 확인된 부정수급 결제 건수는 같은 기간 8만 919건에서 35만 6,116건으로 4배 이상 크게 증가하였으며 2024년 9월 기준 이미 전년도 적발 건수보다 많은 42만 1,644건이 적발되었다. 
 
적발 금액도 2019년 36억원에서 2023년 185억원으로 5배 이상 늘었으며, 2024년 9월 기준은 전년도 금액보다 51억 증가한 236억원으로 최근 5년간 약 700억원 이상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보장정보원은 적발건수와 금액이 증가한 배경으로 부정수급에 대한 공익신고와 관련 홍보가 큰 역할을 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었다.

최근 5년간 연도별 사회서비스 바우처 부정수급 적발 담당인력 및 예산에 따르면 2024년 9월 기준 12명이 근무 중이었으며 1인당 적발금액이 2019년 3.3억원에서 2023년 15.4억원으로 4배 가량 증가하고 있었다. 또한 올해 9월 기준으로 이미 1인당 적발금액이 전년도를 넘어선 19.7억원을 기록하고 있었다.

 또한 공익신고인에게 지급하는 포상금 예산 배정액은 최근 5년간 4천 8백만원으로 동결되었지만, 부정수급 적발 건수와 금액이 점차 늘어남에 따라 올해 1억 8천 3백만원으로 증액하였지만 추가적으로 예산 증액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AI FDS 탐지 및 조사 현황에 따르면 2021년도부터 폭증한 이상결제(의심군) 건수 대비 AI 탐지 비중도 13.7%에서 2024년 9월 기준 81.3%로 증가하고 있었다.
 
사보원은 AI FDS를 2020년 구축 2021년부터 운영중에 있으며, AI FDS 탐지에 의한 현장조사 건수도 2021년 1만 8,338건에서 2023년 8만 2,330건으로  4배 이상 증가하고 있었으며 실제 적발 건수 및 적중률도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었다.

백종헌 의원은 “국민 편의 증진을 위한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제도를 악용한 부정수급이 가파르게 늘고 있는 만큼 이를 적발하는 담당인력의 역할이 막중하지만 몇 년째 인원이 동결되어 확충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면서 "AI FDS를 통한 탐지와 적발도 늘어나고 있지만 미처 파악하지 못하는 부정수급 적발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공익신고가 더욱 활성화될 수 있도록 관련 예산 증액 방안도 면밀히 검토하겠다.”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이니스트에스티-대원제약, '제약바이오 오픈하우스' 개최...한국제약바이오협회 주관 한국제약바이오협회(회장 노연홍)는 지난 23일 이니스트에스티, 대원제약과 함께 ‘제약바이오 오픈하우스’를 개최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오픈하우스는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창립 80주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주요 이해관계자들이 제약바이오 산업의 생산 현장을 직접 체험하고 이해를 높이기 위해 기획됐다. 행사는 오전 10시 충북 오송에 위치한 이니스트에스티 원료의약품 공장에서, 오후 1시에는 충북 진천에 위치한 대원제약 공장에서 각각 진행됐다. 협회는 참석자들에게 ‘제21대 대선 제약바이오 10대 정책 제안’과 ‘신약개발 선도국 도약을 위한 K-Pharma의 극복과제(KPBMA Brief)’를 소개하고 산업계의 주요 현안과 정책 방향을 공유했다. 오송 이니스트에스티 공장은 항생제 생산 시설로는 처음으로 미국 FDA 승인을 받은 원료의약품 cGMP 생산시설이다. 현장에는 한쌍수 이니스트에스티 사장이 직접 나와 보건복지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 관계자를 맞이했다. 참석자들은 원료공급 안정화와 원료산업 활성화, 불순물 관리와 관련해 많은 질문을 던지고 현장의 목소리를 들었다. 한 참석자는 “원료 자급화를 비롯한 의약품 공급망의 중요성이 커지는 만큼 국내 생산인프라에 대한 관심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