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14 (금)

  • 맑음동두천 0.8℃
  • 맑음강릉 4.8℃
  • 맑음서울 5.1℃
  • 맑음대전 4.7℃
  • 구름조금대구 3.2℃
  • 구름많음울산 4.3℃
  • 구름많음광주 9.0℃
  • 맑음부산 7.4℃
  • 구름많음고창 5.5℃
  • 흐림제주 10.9℃
  • 맑음강화 5.1℃
  • 맑음보은 0.6℃
  • 구름많음금산 0.5℃
  • 흐림강진군 4.8℃
  • 구름조금경주시 0.4℃
  • 구름조금거제 5.0℃
기상청 제공

변비 치료, 대장내시경 사용 '폴리에틸렌 글리콜'..."위장관 내 알코올 흡수 억제, 간 손상 및 숙취 예방 효과"

원주의과대학 정범선 교수팀, 변비약 성분의 숙취 해소 연구 발표
후속 연구 및 산학협력 통한 제품 개발도 계획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정범선 교수(해부학교실) 연구진이 최근 변비약 성분의 숙취 해소 및 간 보호 효과 연구로 국제 SCIE 학술지에 논문을 발표했다.

연구진은 변비 치료 및 대장내시경 전처치에 쓰이는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PEG)이 위장관 내 알코올 흡수를 억제하여 간 손상 및 숙취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음을 제시했다. 

전임상시험에서 실험용 생쥐를 알코올 단독섭취 그룹과 알코올+PEG 섭취 그룹으로 나누고, 혈중 알코올·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 간 수치 등의 변화 및 위장관의 조직염색 사진으로 이러한 효과를 검증했다. 

이후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소규모 임상시험을 진행했으며, 음주 후 혈액 및 대변 샘플 채취 등을 통해 유의미한 알코올 대사 개선 효과를 확인했다.

또한 PEG는 소아에게도 자주 사용될 정도로 안전한 물질이기 때문에 더욱 안심하고 일반의약품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도 제시하였다.

한편, 본 연구는 정범선 교수와 함께 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 류담 교수(소화기내과),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양경모 임상강사(소화기내과)의 협력을 통해 진행됐으며, 앞으로 후속 연구 및 산학협력을 통한 제품 개발까지도 계획 중이다.

이번 연구가 발표된 학술지 『Alcohol, Clinical and Experimental Research』는 미국 알코올연구회의 공식 학술지로, 전 세계 알코올 연구 분야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진 학술지 중 하나이다. 

정범선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과음 후 발생하는 숙취 및 만성 음주자의 간 건강 회복을 위한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약제를 발견했다”며 “앞으로 더욱 대규모의 임상시험 등 추가 연구가 지속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논문은 학술 정보지 'Alcohol, Clinical and Experimental Research''에「Co-administration of polyethylene glycol with binge ethanol reduces markers of intestinal and hepatic inflammation in C57BL/6J mice by diminishing ethanol absorption through the intestinal wall란 제목으로 거제 됐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식약처-美 FSIS, 한-미 축산물 안전 디지털 협력 강화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우리나라로 수입되는 미국산 축산물에 대해 수출국(미국) 정부가 발행하는 위생증명서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한-미 수출입 축산물 전자위생증명 협력 양해각서(MOU)’를 미국 식품안전검사청(FSIS)과 3월 13일(현지시간 3월12일) 미국 워싱턴D.C에서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양해각서 체결은 한·미 양국의 수출입 축산물 안전관리를 위해 식약처와 FSIS가 지난해부터 실무급 협의 등을 통해 긴밀히 협력해 온 결과로, 이르면 올해 말부터 전자위생증명 시스템을 도입하게 된다. 이 경우 우리나라는 세계 최초로 미국으로부터 축산물의 위생증명서 정보를 전자적으로 제공받는 국가가 된다. 미국산 축산물은 우리나라 전체 수입량의 1위(약 31%)*를 차지하고 있으며, 현재 이미 축산물 전자위생증명이 적용된 호주‧칠레‧태국·브라질·뉴질랜드에 이어 6번째로 전자위생증명을 도입하게 되면 우리나라로 수입되는 축산물의 약 68%가 전자위생증명을 통해 수입된다. 향후 한·미 양국이 전자위생증명을 활용하게 되면 위생증명서의 위·변조를 차단해 수출입 축산물의 안전관리를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종이서류 발급·확인·보관이 필요없어 효율적인 검사와 비용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