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27 (목)

  • 흐림동두천 12.1℃
  • 흐림강릉 7.8℃
  • 흐림서울 18.4℃
  • 흐림대전 21.4℃
  • 맑음대구 16.8℃
  • 맑음울산 19.0℃
  • 구름많음광주 19.1℃
  • 부산 17.9℃
  • 구름많음고창 18.9℃
  • 맑음제주 25.2℃
  • 흐림강화 12.7℃
  • 구름많음보은 11.4℃
  • 구름많음금산 21.0℃
  • 흐림강진군 15.9℃
  • 맑음경주시 15.5℃
  • 구름많음거제 17.8℃
기상청 제공

인제대학교 백병원, 차세대 통합의료정보시스템 ‘인피스’ 구축 완료

인제대학교 백병원(이사장 백대욱)은 최근 상계백병원에 차세대 통합의료정보시스템 ‘인피스(INPHIS, Inje Paik Hospital Information System)’를 성공적으로 도입하며, 백병원 산하 4개 병원(부산·상계·일산·해운대백병원)의 의료정보 통합을 완료했다.

병원 운영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환자 중심의 의료서비스를 강화하기 위해 도입된 차세대 통합의료정보시스템 ‘인피스’는 2024년 3월 30일 일산백병원을 시작으로, 부산백병원(6월 1일), 해운대백병원(11월 30일)에 순차적으로 적용되었으며, 이번 상계백병원(2025년 3월 1일)의 도입으로 백중앙의료원의 모든 병원이 단일 의료정보시스템을 운영하게 됐다.

이번 시스템은 진료정보, 병원행정, 경영정보 등 병원정보 데이터를 표준화하여 병원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를 통해 의료진이 보다 신속하고 체계적인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수집된 데이터를 임상 연구에 활용하여 연구의 질적 향상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경영정보시스템을 새롭게 구축하여 원가 분석 및 진료 통계 자료를 기반으로 CP(Critical Pathway, 표준진료지침) 개선에 활용할 예정이며, 신포괄수가제도 확산에 따른 DRG 지불제도에도 적극적으로 적용할 계획이다.

백중앙의료원은 정보역량강화TFT를 구성하여 기준코드표준화, 용어표준화 등 철저한 개발 준비과정을 거쳤으며, 수차례에 걸친 통합 테스트와 사전 리허설을 통해 시스템의 안정성을 점검했다. 또한, 의사, 간호사, 행정직 등 전 직원을 대상으로 한 사용자 교육을 실시하여 원활한 도입과 운영을 지원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경동맥 협착증 스텐트 삽입 후 1년 이상 이중 항혈소판제 사용 관행...바뀌나 연세대학교 용인세브란스병원(병원장 김은경) 신경과 유준상 교수, 강남세브란스병원 영상의학과 서권덕 교수 연구팀은 최근 연구를 통해 경동맥 스텐트 삽입술 후 이중 항혈소판제 사용의 적정한 기간을 제시했다. 경동맥 스텐트 삽입술은 경동맥 내막절제술을 받을 수 없는 경동맥 협착증 환자에게 주로 시행한다. 스텐트 삽입술 후에는 스텐트 내 혈전증, 허혈성 뇌졸중 등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아스피린을 포함한 이중 항혈소판제 사용을 권고한다. 이 경우 합병증 예방에는 도움이 되지만, 반대로 출혈 위험은 커진다. 경동맥 스텐트 삽입술 후 이중 항혈소판제는 관행적으로 1년 이상 사용하고 있으며, 사용기간에 대한 명확한 지침은 아직 없다. 이에 연구팀은 경동맥 스텐트 삽입술을 받은 환자를 이중 항혈소판제 사용기간에 따라 구분해 허혈성 뇌졸중 및 주요 출혈(뇌출혈, 수혈을 동반한 장 출혈) 발생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연구에는 2007년부터 2019년 사이에 경동맥 스텐트 삽입술을 받은 환자의 국민건강보험공단 청구 데이터를 사용했다. 이중 항혈소판제 사용기간은 단기(3~6개월), 장기(6개월 이상)로 나누고, 시술 후 3개월부터 15개월 사이 발생한 허혈성 뇌졸중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