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불안증후군(RLS)은 잠들기 전 하체에 불편한 감각이 느껴져 숙면을 취하지 못하는 질환이다. 다리를 움직이지 않으면 증상이 심해지고, 움직이면 정상으로 돌아오는 것이 특징이다.
환자들은 주로 다리에 벌레가 기어다니는 느낌, 쑤시거나 따끔거리는 느낌, 바늘로 찌르는 듯한 느낌 등 다양한 증상을 호소한다. 국내에서 하지불안증후군을 앓고 있는 환자는 약 360만 명(7.5%)으로 추정되며, 이 중 약 220만 명(60%)은 수면장애를 동반하고 있다. 미국 수면학회는 미국 내 하지불안증후군 환자가 약 1200만 명에 달할 것으로 추산한다.
대부분의 환자들이 디스크나 하지정맥류로 오인해 정형외과나 재활의학과를 방문하면서 정확한 치료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일시적인 증상으로 생각하고 참고 견디려다 병을 키우는 경우도 적지 않다.
특히, 봄철에는 하지불안증후군 환자가 병원을 찾는 사례가 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봄철 알러지로 인해 가려움증이 심해질 경우, 진정성 항히스타민제를 처방받아 복용하는 사례가 많다. 하지만 진정성 항히스타민제는 중추신경계에 작용하여 졸음을 유발하며, 하지불안증후군의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하지불안증후군은 비슷한 증상을 보이는 다른 질환과 혼동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수면 다원 검사와 혈액 검사가 필요하다. 수면 다원 검사는 병원에서 1박 2일 동안 진행되는 종합 수면 검사로, 하지불안증후군 여부를 판별하는 데 필수적이다. 특히, 고혈압 환자가 잦은 각성이나 뒤척임 증상을 보일 경우, 건강보험 적용을 받아 검사를 받을 수 있다.
또한, 철분 부족이 하지불안증후군의 원인이 될 수 있어 훼리틴 혈액 검사를 통해 철분 수치를 확인하는 것도 중요하다. 한진규 서울수면센터 원장은 “철분이 부족하면 철분제를 보충하고, 도파민이 부족할 때는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 제제를 소량 복용하면 빠르게 호전된다”고 설명했다.
하지불안증후군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는 카페인, 항우울제, 기타 정신분열증 약물이 있다. 이에 따라 생활 습관을 점검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불안증후군 증상이 가벼운 경우, 낮 동안 햇볕을 충분히 쬐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한진규 원장은 “계절이나 날씨에 따라 하지불안증후군이 심해지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햇빛량과도 관계가 있을 수 있다”며 “햇볕을 쬐며 가벼운 스트레칭이나 체조를 한 뒤, 다리 마사지나 족욕 등을 통해 다리의 피로를 해소하는 것이 예방과 완화에 도움이 된다”고 조언했다. 또한, 스트레스도 하지불안증후군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규칙적인 수면 습관을 유지하고 스트레스를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