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9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디에스엠퍼메니쉬, 한국식품과학회 국제학술대회서 건강기능식품 방향성 제시

 디에스엠퍼메니쉬(dsm-firmenich)는 7월 2일부터 4일까지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5 한국식품과학회(KoSFoST) 국제학술대회 및 정기총회’에서 소비자 중심의 최신 건강 및 영양 혁신 기술을 선보였다. 한국식품과학회는 국내 식품과학 분야를 대표하는 학술단체 중 하나로, 디에스엠퍼메니쉬는 이번 학술대회를 통해 차세대 건강기능식품의 과학적‧기술적 기반에 대한 글로벌 인사이트를 공유했다.

이번 학술대회에서 디에스엠퍼메니쉬는 ‘혁신 건강기능식품 기술과 고도화된 표준화 방법 발전을 위한 과학적 논의’ 세션 발표와 패널 토론에 참여했다. 해당 세션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김지연 교수의 개회사로 시작되었으며, 세종대학교 임태규 교수가 좌장을 맡아 진행했다. 연사로는 디에스엠퍼메니쉬 아시아‧태평양 지역 건강, 영양, 케어 학술연구 사이언스 부문 총괄(Associate Director, Health, Nutrition & Care (HNC) Regional Science APAC)인 카이 린 에크(Kai Lin Ek) 박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공민석 교수, 코스맥스NBT 최창윤 팀장이 참여해 발표를 진행했다.

디에스엠퍼메니쉬 카이 린 에크 박사는 ‘차세대 건강기능식품의 과학적 및 기술적 기반’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으며,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인구 고령화, 만성질환 증가, 예방 중심의 건강관리 트렌드를 배경으로 ▲기능성 ▲섭취 편의성 ▲지속 가능성을 아우르는 차세대 건강기능식품 솔루션의 방향성을 제시했다.

그는 디에스엠퍼메니쉬의 자체 디지털 분석 플랫폼 ‘뉴트리뷰(NutriView)’ 데이터를 인용하며, 한국을 포함한 아태 지역 10개국 성인 인구의 상당수가 비타민 A, C, D, 칼슘, 철, 아연 등 주요 영양소에서 평균필요량(Estimated Average Requirement, EAR)에 미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50세 이상 한국 여성의 경우, 비타민 A, C, D, 칼슘의 섭취 부족률이 75%에 달했다.

이러한 섭취 불균형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 에크 박사는 기존 제형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섭취 포맷인 ‘스프링클잇™(Sprinkle-it™)’ 기술을 소개했다. 이 기술은 비타민과 미네랄 등 필수 영양소를 보다 익숙하고 편리한 형태로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음식 위에 뿌려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는 미세 과립형 제형이다. 글로벌 소비자 테스트 결과, 맛과 식감에 대한 만족도가 85%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장기 섭취 시에도 89%의 높은 섭취 순응도를 보였다.

에크 박사는 “건강기능식품은 이제 단순 효과뿐만 아니라, 소비자 경험, 섭취 편의성, 지속 가능성까지 고려한 새로운 기술과 접근이 필요하다. 디에스엠퍼메니쉬의 스프링클잇(Sprinkle-it™) 기술은 이러한 기준을 충족하는 대표적인 차세대 솔루션으로, 기존 정제, 파우더, 액상 형태 대비 높은 소비자 선호도와 섭취 지속률을 보이며 주목받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열린 패널 토론은 한양대학교 고광웅 교수가 좌장을 맡아 진행되었으며, 디에스엠퍼메니쉬 아시아‧태평양 지역 건강, 영양, 케어 부문 응용 및 제형 총괄(Associate Director, Application & Formulation, HNC APAC)인 테리 리(Terry Li)를 비롯해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공민석 교수, 코스맥스 NBT 최창윤 팀장, 강릉원주대학교 이대희 교수, hy 김용태 팀장, 쎌바이오텍 임상현 부소장이 참여했다.

리 총괄은 글로벌 건강기능식품 시장에서의 기술 경쟁력 확보를 위한 R&D 전략과 국제 기준에 부합하는 원료 표준화 접근 방안에 대해 의견을 공유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식약처, 카페·편의점 얼음 수거·검사 결과 발표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커피전문점, 패스트푸드점, 편의점 등에서 아이스 음료에 사용되는 식용얼음 451건을 수거·검사한 결과, 6건이 세균수 기준을 초과하여 관할 관청에서 행정처분 등 조치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수거·검사는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되면서 소비가 급증하는 식용얼음의 위생·안전 관리를 위해 6월 2일부터 17일까지 17개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프랜차이즈 및 개인 커피전문점, 패스트푸드점 등에서 사용하는 식용얼음(제빙기 얼음), 식품제조 가공업체에서 생산하여 편의점 등에서 판매하는 식용얼음(컵얼음, 포장얼음)을 대상으로 했다. 검사항목은 식중독균(살모넬라), 대장균, 세균수, 염소이온, 과망간산칼륨소비량이며, 검사결과 제빙기에서 제조한 얼음 5건과 편의점에서 판매하는 컵얼음 1건이 세균수 기준 초과로 부적합 판정되었다. 부적합한 식용얼음을 사용한 휴게음식점 등 5곳에 대해서는 즉시 제빙기를 사용 중단하고 세척, 소독 및 필터 교체 후 위생적으로 제조된 얼음만 사용하도록 조치했으며, 부적합한 컵얼음을 제조한 식품제조·가공업체에 대해서는 즉시 판매를 중단하고 회수하도록 조치했다. 수거·검사와 함께 제빙기를 사용하는 영업자 등에게 ‘제빙기의 올바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힘겹게 숨 쉬는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 조기 전문 치료가 관건 이른둥이에 흔한 폐 미성숙 질환 태어난 지 얼마 안 된 아기가 숨을 제대로 쉬지 못하면 부모는 큰 불안에 휩싸인다.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은 미성숙한 폐 때문에 주로 이른둥이에게 발생하는 질환으로, 치료 시기에 따라 생존율이 크게 달라진다. 순천향대 부천병원 소아청소년과 박가영 교수의 도움말로 이 질환의 원인부터 치료, 예방까지 살펴본다. 조산아에게 많고, 만삭아도 발생할 수 있어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은 폐가 덜 자라 폐를 부풀려 주는 ‘폐표면 활성제’가 부족해 생긴다. 질기고 작은 풍선을 불 때 잘 안 불리는 것처럼, 폐표면 활성제가 부족한 폐는 잘 펴지지 않아 숨쉬기가 힘겹다. 이른둥이일수록 위험은 커져 임신 28주 미만에서는 발생률이 60~80%에 달한다. 32~36주에는 15~30%, 만삭아에서도 드물게 약 1% 정도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남아가 여아보다 유병률이 높다. 조산 외에도 산모가 당뇨병을 앓고 있거나 아기에게 흉부 기형, 선천 횡격막 탈장이 있는 경우, 폐표면 활성제를 만드는 단백 유전자 변이가 있으면 만삭아도 호흡곤란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다태아, 산모의 출혈 등 여러 원인이 있다. 빠른 호흡·청색증이 주요 증상호흡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