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7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분당서울대병원 산부인과 로봇수술 3,000례 달성 ..자궁·난소 양성 질환부터 초기 부인암까지 적용.

2007년 12월 첫 로봇수술, 21년 1,000례 이후 폭발적 성장세로 23년 2,000례, 25년 3,000례 돌파

분당서울대병원(원장 송정한)이 산부인과 로봇수술 3,000례를 달성했다. 병원은 지난 22일 이를 기념하는 행사를 열고, 송정한 원장, 전영태 진료부원장, 김홍빈 기획조정실장, 황정원 수술부장을 비롯해 다수의 의료진이 참석해 그동안의 성과를 축하했다.

분당서울대병원 산부인과는 2007년 12월 다빈치 로봇수술을 처음 시행한 이후 2021년 1,000례, 2023년 2,000례를 거쳐 마침내 올해 6월 누적 건수 3,000례를 넘어섰다. 1,000례를 넘긴 뒤로는 연간 500건 이상의 수술을 해오며 가파른 성장세를 유지한 셈이다.

로봇수술은 복부에 작은 구멍을 내어 고해상도 카메라와 로봇 팔을 삽입한 뒤, 의사가 3D 영상을 보면서 로봇 팔을 원격으로 움직여 수술하는 방법이다. 손 떨림 보정, 자유로운 관절 회전 기능으로 정교한 수술이 가능하며, 출혈과 조직 손상이 적어 수술 후 회복이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산부인과 수술에서는 가임력을 보존하면서 흉터도 적게 남아 젊은 여성 환자들의 선호도가 높다.

이에 분당서울대병원 산부인과에서는 자궁근종, 자궁내막증, 난소종양 등 양성 질환부터 부인암, 복잡 유착, 재수술 등 고난도 케이스까지 로봇수술의 적용 범위를 넓혀 왔다. 또한, 1만 례가 넘는 복강경수술 경험을 바탕으로 개복수술에 의존하던 자궁내막암, 초기 자궁경부암도 로봇을 통해 수술함으로써 수술과 치료의 패러다임을 바꿔가고 있다.

이외에도 최신 플랫폼을 임상 현장에 빠르게 안착시키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2023년 단일공 로봇수술 장비인 ‘다빈치 SP’를 도입해 피부 절개 부위를 최소화하는 등 수술 흉터에 대한 미용 만족도를 더욱 높였다. 현재는 다빈치 SP 추가 도입을 승인받아 2호기 가동을 앞두고 있다.

이정렬 분당서울대병원 산부인과장은 “산부인과 로봇수술 3,000례 달성은 환자 안전과 치료 성과 향상을 목표로 의료진 모두가 쏟아온 노력의 결실”이라며 “앞으로도 임상 데이터 분석과 술기 개발을 통해 더욱 안전하고 정밀한 맞춤형 치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환자 중심 의료와 의학적 혁신을 실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최보윤 의원 ,국민이 체감하는 ‘ 진짜 의료혁신 ’ 정책 대안 모색 국민의힘 최보윤 국회의원은 국민이 원하는 진짜 의료혁신 토론회를 오는 8월 27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토론회는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의료혁신의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첨단기술의 발전이 의료 현장에 가져오는 변화를 점검하고 이에 대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이번 토론회는 의료 행위의 변화를 주제로 국회의원회관 제9간담회의실에서 오후 2시부터 4시까지 진행되며, 의료 현장에서 AI와 데이터, 디지털치료제가 진료 도구로 자리잡아가는 현실을 살펴보고 안전하고 효과적인 활용을 위한 정책 방향을 모색한다. 주제발표에는 강은경 카카오헬스케어 상무이사가 더 나은 가치를 위한 의료마이데이터를, 김광준 에이아이트릭스 대표가 환자 예후 예측 인공지능 기술의 현주소와 미래를 발표할 예정이다. 이어지는 토론에는 좌장으로 최호진 한양대학교구리병원 교수가 참여하며, 강성지 웰트 대표가 디지털치료제가 바꾸는 진료 패러다임을, 선재원 나만의닥터 대표가 의료마이데이터로 여는 맞춤형 비대면진료 활성화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김용식 퍼즐 AI 대표와 김은정 국회입법조사처 조사관, 신채민 한국보건의료연구원 본부장이 패널로 참여해 다양한 관점에서 의료혁신의 방향을 논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