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려대학교 구로병원(병원장 민병욱) 신경과 강성훈 교수 연구팀(구로병원 신경과 강성훈·오경미 교수, 암연구소 강민웅 연구교수, 안암병원 신경과 백경원 교수)이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를 활용해 33만 명이 넘는 경도인지장애(MCI) 환자를 12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 우울증, 운동 부족, 저체중, 당뇨병이 알츠하이머 치매로 진행되는 주요 위험요인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 중 2009년부터 2015년 사이 경도인지장애로 진단받은 40세 이상 성인 33만 6,313명을 대상으로 최대 12년(평균 6.7년) 동안 건강 상태와 생활습관, 동반질환, 소득수준, 거주지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했다.
그 결과 70세 이후부터 치매 전환률이 급격히 높아졌으며, 특히 우울증이 있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1.7배, 운동을 거의 하지 않는 사람은 1.2배, 저체중인 사람은 1.3배, 당뇨병이 있는 사람은 1.37배 치매로 진행될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규칙적인 신체활동, 적정 체중 유지, 가벼운 음주, 도시 거주, 높은 소득 수준은 치매 전환 위험을 낮추는 보호요인으로 확인됐다.
심혈관질환 중에서는 관상동맥질환과 출혈성 뇌졸중이 위험을 높였지만, 고혈압이나 허혈성 뇌졸중은 치매 진행과 유의미한 상관이 없었다. 이는 단순히 혈압보다 혈당 조절과 정신건강 관리가 인지기능 보존에 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의미다.
이번 연구는 대한민국 전체 인구를 대표할 수 있는 33만 명 규모의 초대형 코호트를 12년간 분석한 세계적 수준의 연구로, 서양인 중심의 기존 치매 연구와 달리 한국인의 생활습관과 건강특성을 반영한 결과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치매는 단순히 나이로 인한 질병이 아니라 생활습관과 정신건강 관리로 충분히 늦출 수 있는 질환임을 과학적으로 입증했다.
연구팀은 특히 치매 진행을 늦추기 위해 ‘수정 가능한 요인(modifiable risk factors)’의 관리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규칙적인 유산소·근력운동을 주 150분 이상 실천하고, 채소·생선·견과류 중심의 지중해식 식단을 유지하며, 저체중과 비만을 모두 피하는 균형 잡힌 체중 관리가 필요하다. 특히 당뇨·심혈관질환의 철저한 관리, 우울증 치료 및 스트레스 완화, 하루 7~8시간의 충분한 수면 확보도 필수적이다. 사회적 고립을 줄이고, 가족·친구와의 교류, 독서·악기·퍼즐 등 인지 자극 활동을 꾸준히 하는 것도 치매 예방에 효과적이다.
강성훈 교수는 “이번 연구는 치매의 진행을 늦추고 발병 위험을 줄이기 위해 어떤 요인을 관리해야 하는지 명확히 보여준다. 꾸준한 운동과 체중·혈당 조절, 정신건강 유지만으로도 인지기능 저하를 완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약물치료도 중요하지만, 반드시 생활습관 개선과 만성질환 관리가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앞으로도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예방 중심 연구를 통해 국민의 뇌 건강 증진에 기여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영국 네이처(Nature)의 자매 학술지이자 세계적 SCI급 국제학술지인 Scientific Reports(IF 4.6)에 게재되었으며, 고려대학교 구로병원(KOREA RESEARCH-DRIVEN HOSPITAL)과 한국연구재단(NRF)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