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8 (목)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식품의약품안전처

제네릭 개발 패러다임 바뀌나....만성질환제 '우뚝'

식약청,상반기 제네릭의약품 상반기 개발동향 분석결과, 당뇨병 치료제등 만성질환 치료제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제네릭의약품 상반기 개발동향 분석결과, 당뇨병 치료제등 만성질환 치료제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사실은 식약청에 신청된 생물학적 동등성 시험(이하 “생동성 시험) 승인 현황을 통해 분석한 것으로 당뇨병 치료제에 대한 특허 만료 영향 때문으로 진잔되고 있다. 

특히 당뇨병치료제인 글리메피리드·메트포르민염산염 복합제와 여성 골다공증치료제인 이반드론산나트륨 등이 포함된 기타의 대사성 의약품이 34%를 차지하여 가장 많이 개발된 것으로 집계됐다. 

또 신경병증성 통증치료제인 프레가발린이 포함된 중추신경계용 의약품이 30%를 차지하며 그 뒤를 이어 관심 품목으로 주목되고 있다. 

이밖에 성분별 제네릭 개발은 신경병증성 통증치료제 프레가발린(20건) ▲당뇨병 치료제 글리메피리드·메트포르민염산염 복합제(16건) ▲골다공증 치료제 이반드론산나트륨(10건) 등이 40%를 차지했다 

제네릭 개발을 위한 생동성시험 승인 건수는 114건으로  전년 상반기(176건)에 비해 3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에 이미 생산규모가 큰 당뇨병 치료제 아마릴엠정(글리메피리드·메트포르민염산염)등에 대한 생동성 시험계획서가 이미 57건이나 승인 받은 것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식약청은 생동성 시험이 진행될 때 ▲ 생동성시험 실시당일 시험기관 직접 방문 ▲ 담당의사의 생동성시험 참여 피험자에 대한 충분한 설명 ▲ 피험자 동의여부 ▲피험자에 대한 보상규약 준수여부 ▲약물 유해반응에 대한 대책 마련여부 ▲ 피험자가  3개월내 다른 생동성 시험등 참여여부 ▲ 자료 조작 방지 프로그램(Audit trail)을 설치여부 등 피험자 보호와 시험결과 신뢰성 담보여부를 집중적으로 점검하였다고 밝혔다. 

 

생물학적동등성시험 계획서 승인 현황 (2011년 상반기)

 

연번

성분명

건수

약효군

분류번호

1

프레가발린

20

중추신경계용약

119

2

글리메피리드·메트포르민염산염

16

기타의 대사성 의약품

396

3

이반드론산나트륨일수화물

10

기타의 대사성 의약품

399

4

알렌드론산나트륨·농축콜레칼시페롤

6

기타의 대사성 의약품

399

몬테루카스트나트륨

6

알레르기용약

149

엘로티닙염산염

6

종양용약

421

5

보글리보스

3

기타의 대사성 의약품

396

6

레비티라세탐

2

중추신경계용약

113

목시플록사신염산염

2

화학요법제

629

발사르탄

2

순환계용약

214

발사르탄/히드로클로로티아지드

2

순환계용약

214

아리피프라졸

2

중추신경계용약

117

아세클로페낙

2

중추신경계용약

114

카페시타빈

2

종양용약

421

티아넵틴나트륨

2

중추신경계용약

117

페린도프릴제3부틸아민

2

순환계용약

214

7

그라니세트론염삼염 등 29품목

1

-

-

총 114건

 

 


주요 개발 품목 약효군별 생산실적(‘08년~’09년)

(단위 : 천원, %)

연번

분류번호

약효군

2008년

2009년

증감

1

114

해열, 진통, 소염제

883,062,044

862,397,954

-2.3

2

214

혈압강하제

783,237,312

772,915.859

-1.3

3

629

기타의 화학요법제

475,816,792

443,634,201

-6.8

4

399

따로 분류되지 않는 대사성의약품

378,394,691

406,393,445

7.4

5

396

당뇨병용제

336,092,090

311,091,551

-7.4

6

117

정신신경용제

201,125,752

232,127,946

15.4

7

119

기타의 중추신경용약

228,017,745

230,371,056

1.0

8

421

항악성종양제

211,736,295

193,711,634

-8.5

9

113

항전간제

119,572,712

123,192,591

3.0

10

149

기타의 알레르기용약

59,214,976

61,392,864

3.7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식약처, 디지털의료기기 관련 가이드라인 6종 제·개정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 소속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원장 강석연)은 「디지털의료제품법」 하위규정 시행에 따라 디지털의료기기 관련 가이드라인 1종을 제정하고 5종을 5월 7일 개정했다고 밝혔다. 주요내용은 디지털의료기기소프트웨어 특성을 반영한 허가신청서, 첨부서류 등 작성 방법을 안내하고, 인공지능·가상융합기술 등이 적용된 디지털의료기기에 대해 ▲제품 분류 판단기준과 흐름도 정비 ▲기술별 제품 사례 안내 ▲허가 제출자료의 범위 정비 및 작성방법 예시 등이다. 붙임 가이드라인 제·개정 주요 내용 구분 제목 목적 주요사항 제정 디지털의료기기소프트웨어 허가 심사 가이드리인 독립형디지털의료기기소프트웨어의 허가·심사 시 기술문서·첨부자료 작성방법 등 제시 ① 독립형 디지털의료기기소프트웨어 관련 형태적·기능적 특성에 따른 안내 ② 독립형 소프트웨어 신청서 작성방법 및 예시, 성능평가 지표(AUC,민·특이도) 등 제시 ③ 「디지털의료제품 허가·인증·신고 심사 및 평가 등에 관한 규정」에 따른 첨부서류 안내 개정 의료기기 소프트웨어 허가 심사 가이드리인 내장형 소프트웨어의 허가·심사 시 기술문서·첨부자료 작성방법 등 제시 기존 내장형·독립형 소프트웨어 관련 포괄적 내용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여럿이 자는 환경에서도, ‘내 숨소리’로 ..."수면 상태 분석한다" 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윤인영 · 이비인후과 김정훈 교수 연구팀이 에이슬립 홍준기 CTO 연구팀과 공동으로 ‘여럿이 함께 수면하는 환경에서도 각 개인의 숨소리를 분리해 개인별 수면 단계를 정확히 구분’하는 인공지능(AI) 모델의 성능을 검증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수면다원검사는 수면의 질과 구조를 정밀하게 평가하는 표준검사다. 하지만 여러 센서를 부착해야하는 불편함, 높은 비용으로 인해 일상적으로 반복 측정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웨어러블 기기와 수면 측정 애플리케이션이 주목 받고 있지만 그 정확도는 아직 수면다원검사의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는 실정이었다. 또한, 기존의 수면 분석 기술들은 대부분 혼자 수면하는 환경을 기준으로 설계돼있어 실제처럼 두 명 이상 수면하는 경우에는 숨소리, 뒤척임, 코골이 등 타인의 소음으로 인해 개인별 수면 상태를 정확하게 분석하기는 어려웠다. 이에, 연구팀은 숨소리만으로 수면 단계(▲깨어있음 ▲렘(REM) 수면 ▲얕은 수면 ▲깊은 수면)를 예측하는 AI 모델을 개발, 공동 수면 상황에서도 개인마다의 수면 단계를 정확하게 분류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성인 44쌍(총 88명)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