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7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심평원

허혈성 심장질환,흉통․호흡곤란 등 증상 나타나지만 노인의 경우 가슴통증 없을 수도..주의 필요

심평원 분석결과,2015년 ‘허혈성 심장질환’ 진료인원 86만여 명, 91%가 50대 이상 중년층

최근 5년간(2011~2015년)의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심사결정 자료에서 나타난 ‘허혈성 심장질환‘의 진료 추이를 살펴보면,진료인원은 2011년 약 75만5,000명에서 2015년 약 86만명으로 약 10만5,000명(13.9%)이 증가하여 연평균 증가율은 3.3%로 나타났으며,
 

총진료비는 2011년 약 6,455억6,000만원에서 2015년 약 7,351억5,000만원으로 약 895억9,000만원(13.9%) 증가하여 연평균 3.3%의 증가율을 보였다.

표1 . <허혈성 심장질환> 진료인원 및 총 진료비 현황 (2011~2015년)
                                                                                                                                 (단위: 명, 천원)

구 분

2011

2012

2013

2014

2015

진료인원

754,703

800,976

812,088

856,147

859,909

415,568

446,044

459,398

490,267

499,870

339,135

354,932

352,690

365,880

360,039

총 진료비

645,562,681

663,696,173

686,011,118

715,550,765

735,148,542

408,842,034

424,254,765

442,532,560

466,095,240

487,466,622

236,720,648

239,441,409

243,478,559

249,455,525

247,681,920



 ‘허혈성 심장질환’ 전체 진료인원 10명 중 9명(90.9%)은 50세 이상 중·노년층으로,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015년 기준 진료인원이 가장 많은 연령구간은 60대로 전체 진료인원의 29.3%를 차지하였으며, 70대 29.0% > 50대 21.2% > 80대 이상 11.4% 순으로 많았다.
 

2015년 진료인원을 2011년과 비교해보면 50대 이상 연령구간은 모두 증가하고, 50대 미만 연령구간은 모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허혈성 심장질환’은 증상이 나타나기 전, 죽상경화*가 진행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젊은 층도 예방에 힘써야 한다.

표2 . <허혈성 심장질환> 연령구간별/성별 진료인원 및 점유율 (2011~2015년)     
                                                                                                                                       (단위: 명, %)

구 분

진 료 인 원 ()

연 령 별 점 유 율 (%)

2011

2012

2013

2014

2015

2011

2012

2013

2014

2015

30세 미만

7,971

7,406

6,622

6,270

5,470

1.0%

0.9%

0.8%

0.7%

0.6%

5,008

4,685

4,034

3,938

3,472

1.2%

1.0%

0.8%

0.8%

0.7%

2,963

2,721

2,588

2,332

1,998

0.8%

0.7%

0.7%

0.6%

0.5%

30~ 39

18,393

17,244

16,207

16,024

14,408

2.3%

2.0%

1.9%

1.8%

1.6%

13,056

12,187

11,573

11,583

10,561

3.0%

2.6%

2.4%

2.2%

2.0%

5,337

5,057

4,634

4,441

3,847

1.5%

1.4%

1.3%

1.2%

1.0%

40~ 49

70,374

69,179

65,602

66,786

62,117

9.0%

8.2%

7.7%

7.4%

6.9%

48,840

48,664

47,076

48,782

46,280

11.3%

10.4%

9.8%

9.5%

8.8%

21,534

20,515

18,526

18,004

15,837

6.1%

5.5%

5.0%

4.7%

4.2%

50~ 59

178,799

191,218

189,194

197,939

191,516

22.8%

22.7%

22.2%

22.0%

21.2%

113,021

122,725

124,666

131,886

130,750

26.1%

26.1%

25.9%

25.6%

24.9%

65,778

68,493

64,528

66,053

60,766

18.7%

18.4%

17.5%

17.2%

16.1%

60~ 69

233,953

249,281

246,833

260,036

263,988

29.8%

29.6%

29.0%

28.9%

29.3%

131,687

144,003

146,328

157,046

162,921

30.4%

30.7%

30.4%

30.5%

31.0%

102,266

105,278

100,505

102,990

101,067

29.1%

28.3%

27.3%

26.9%

26.8%

70~ 79

209,374

232,280

243,215

258,319

261,857

26.7%

27.6%

28.6%

28.7%

29.0%

96,711

109,061

116,748

126,152

130,842

22.3%

23.2%

24.2%

24.5%

24.9%

112,663

123,219

126,467

132,167

131,015

32.0%

33.1%

34.3%

34.5%

34.8%

80세 이상

66,240

75,447

82,900

93,616

102,498

8.4%

9.0%

9.7%

10.4%

11.4%

24,831

28,430

31,640

36,314

40,391

5.7%

6.1%

6.6%

7.0%

7.7%

41,409

47,017

51,260

57,302

62,107

11.8%

12.6%

13.9%

15.0%

16.5%

※ 연령별 점유율은 각 성별 내에서 점유율임.
 

생일을 전후하여 진료를 받아 만(滿)나이가 변경된 경우에는 연령 별로 중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단순합계로 환자수를 계산하는 경우 다수의 중복 환자수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자료 이용 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허혈성 심장질환’ 중 진료인원이 가장 많은 상병은 ‘협심증’으로 전체 진료인원 중 68.4%를 차지하였으며, 그 뒤를 이어 만성 허혈심장병(20.5%)과 급성 심근경색증(10.2%)순으로 나타났다.
 

‘협심증’은 관상동맥 내부 지름이 좁아져 심장으로 가는 혈액이 줄어드는 경우로, 운동,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심장에 필요한 혈액이 증가하게 되면 충분한 혈액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아 가슴에 통증을 느끼게 된다. 이때 휴식을 취해 심장에 필요한 혈액량이 감소하면 증상은 나아진다.
 

‘급성 심근경색증’은 관상동맥이 막혀 혈액공급이 차단되는 경우이며, 이는 ‘협심증’과 같이 휴식을 취하더라도 증상이 사라지지 않기 때문에 빠른 시간 내에 혈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해야 해야 한다.


특히 ‘급성 심근경색’으로 인한 사망은 2014년 ‘허혈성 심장질환’으로 인한 사망 중 71.8%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통계청 사망원인 통계(2014년)

표3 . <허혈성 심장질환> 진료인원 현황 (2011~2015년)
(단위: 명, %)

코드

상병명

2011

2012

2013

2014

2015

I20

협심증

572,581

599,267

602,133

636,082

634,605

(68.2%)

(68.0%)

(68.0%)

(68.2%)

(68.4%)

I21

급성 심근경색증

75,839

77,731

82,200

90,147

94,577

(9.0%)

(8.8%)

(9.3%)

(9.7%)

(10.2%)

I22

후속심근경색증

2,043

1,833

1,646

1,550

1,279

(0.2%)

(0.2%)

(0.2%)

(0.2%)

(0.1%)

I23

급성 심근경색증 후 특정 현존 합병증

686

594

576

550

535

(0.1%)

(0.1%)

(0.1%)

(0.1%)

(0.1%)

I24

기타 급성 허혈심장질환

8,249

8,182

7,543

7,416

6,388

(1.0%)

(0.9%)

(0.9%)

(0.8%)

(0.7%)

I25

만성 허혈심장병

180,412

193,983

191,074

197,100

190,705

(21.5%)

(22.0%)

(21.6%)

(21.1%)

(20.5%)

.

‘허혈성 심장질환’은 날씨가 추워지면 혈관이 수축되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봄․여름에도 과격한 운동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관리가 요구된다.


‘허혈성 심장질환’의 치료는 약물치료, 관상동맥우회술, 경피적관상동맥중재술 중 하나 또는 병행하여 이루어지며, 증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최대한 신속하게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관상동맥에 문제가 발생하면 다른 혈관으로 새로운 통로를 만들어주거나(관상동맥우회술), 카테터 및 스텐트를 이용하여 막히거나 좁아진 혈관을 넓혀주는(경피적관상동맥중재술) 수술이 필요하므로 증상이 발생하면 구급차 등을 이용해 신속히 가까운 병원으로 이동할 것을 권한다. 
 
심사평가원 노태호 전문심사위원(가톨릭의대)은 “허혈성 심장질환은 진단과 치료를 소홀히 할 경우 심인성 급사로 이어질 수 있으며, 흉통․호흡곤란 등 증상이 발생할 경우 지체 없이 병원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노인의 경우 전형적인 가슴통증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유한양행, 여성 유산균 ‘엘레나 테아닌’ 약국으로 채널 확대 유한양행(대표이사 조욱제)은 프리미엄 여성 유산균 건강기능식품 ‘엘레나 테아닌’이 약국으로 판매 채널을 확대했다고 2일 밝혔다. 엘레나 테아닌은 지난 1월 출시 이후 그간 온라인으로만 구매가 가능했으나, 오프라인을 선호하는 소비자 니즈를 반영해 9월부터 약국에서도 만나볼 수 있다. 약국 입점을 통해 소비자들은 약사와의 상담을 통해 엘레나 테아닌에 대한 정확한 정보와 자신에게 맞는 복용법을 안내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엘레나 테아닌은 여성의 ‘질 건강’, ‘장 건강’ 그리고 ‘마음 건강’까지 한 번에 케어 가능한 유한양행의 건강기능식품이다. 여성의 질과 장 내 환경 개선에 도움을 주는 UREX® 프로바이오틱스에 스트레스 완화와 심리적 안정 효과를 주는 테아닌 성분을 더해 현대 여성들이 겪는 다양한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심리적 안정을 돕는데 중점을 뒀다. 테아닌은 녹차에 들어있는 아미노산의 일종으로 스트레스로 인한 긴장 완화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업계에서도 기존의 질건강 유산균에 심리적 안정까지 고려한 점이 인상적이며, 최근 늘어나는 멘탈 건강 제품을 찾는 사람들에게 적합한 제품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2015년 첫 선을 보인 엘레나는 엘레나 퀸,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