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7 (일)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모더나, PA 치료제 후보물질mRNA-3927 임상 1/2상 중간 결과 발표

현재까지 mRNA-3927은 투여 용량에서 우수한 내약성은 물론 용량 의존적 약리와 잠재적 임상의 이점의 초기 징후 고무적

mRNA 치료제 및 백신 분야 선도 바이오테크 기업 모더나는 19일(현지시각) 자사의 프로피온산혈증(Propionic acidemia, PA) mRNA 치료제 후보물질 mRNA-3927의 임상 1/2상 중간 결과를 2023 미국 유전자세포치료학회(American Society of Gene + Cell Therapy(ASGCT) Annual Meeting))에서 발표했다.

진행 중인 글로벌 임상 1/2상은 프로피온산혈증이 유전자적으로 확인된 1세 이상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mRNA-3927의 안전성과 약리 및 약동성을 평가하기 위한 오픈 라벨, 다기관 용량 최적화 연구이다. (ClinicalTrials.gov Identifier: NCT04159103) 이 연구는 mRNA-3927의 정맥 내 투여를 평가하기 위해 용량 증량 접근법을 사용한다. 초기 투여 요법으로 0.3mg/kg을 3주마다 정맥 내 투여했으며 후속 용량은 2주마다 투여됐다. 용량 최적화 시험(10회 용량)을 완료한 참가자는 오픈 라벨 연구(NCT05130437)에서 치료를 계속할 수 있는 자격이 부여된다. 1차 평가 변수는 안전성과 내약성이며, 2차 및 탐색적 평가 변수는 약리, 잠재적 혈장 바이오마커 평가, 대사성 대상부전(metabolic decompensation events, MDE)의 빈도와 기간이 포함된다. mRNA-3927은 투여 용량 범위에서 우수한 내약성을 보였으며 용량 의존적 약리 및 잠재적 임상적 이점 초기 징후에서 모두 고무적인 결과를 보였다.

현재까지 총 16명의 환자가 5개 용량 코호트에서 mRNA-3927을 투여 받았다. 15명 참가자 중 11명이 연구를 완료하고 오픈 라벨 연장 연구에 등록했으며 5명은 mRNA-3927로 1년 이상 치료받았다. mRNA-3927 투약 전 12개월 동안 대사성 대상부전(MDE)이 보고된 대부분의 참가자는 mRNA-3927 치료 후 대사성 대상부전이 발생하지 않거나 낮게 발생했다.

두 연구에서 총 280회 이상 용량이 투여됐으며 이는 13 환자-년(patient-years) 이상의 환자 투여 사례이다. 용량제한 독성이나 치료 관련 이상반응으로 인한 연구 중단 사례는 발생하지 않았다. 15명의 참가자에서 치료 관련 이상반응이, 9명의 참가자에서 약물 관련 이상반응이 보고되었다. 8명의 참가자에서 심각한 이상반응이 보고되었으나, 대부분은 프로피온산혈증과 관련이 있었고 mRNA-3927과는 관련이 없었다. 6명의 참가자는 경증의 주입 관련 이상반응이 보고되었으나 대부분의 사례는 첫 번째 투여에서 발생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한국-일본,의약품 등 분야 ...첨단기술·GMP·역량강화 등 미래 규제협력키로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한·일 의약품·의료기기 분야 국장급 양자회의 및 공동 심포지엄을 7월 17일과 18일 도쿄에서 마무리하고, 양국 간 긴밀한 미래 협력의 기본 방향을 담은 ‘한일 의료제품 규제 협력 공동성명’을 7월 25일 발표했다. 식약처와 일본 후생노동성, 의약품의료기기종합기구는 올해 MOC 체결 10주년을 맞아 아시아 규제 선도기관으로서 협력 강화 의지를 확인하는 공동성명을 채택했다. 첨단기술 규제 정립, 의약품 제조·품질관리기준 실태조사, 규제 역량 강화 등에서의 미래지향적 협력 방향을 설정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구체적 협력 방안을 모색하고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아울러, 식약처는 의료기기 분야 상호 협력을 위한 정보 공유 비밀유지협약도 체결하여 양국의 의료제품 신뢰 체계가 강화될 것으로 기대한다. 오유경 처장은 “이번 양자회의와 심포지엄으로 양국 정부와 민간의 실질적 협력이 한층 공고해졌으며, 향후에도 국내 우수한 의료제품이 일본 시장으로 활발히 진출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주요 수출국의 규제기관과 협력관계를 확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17일 한국제약바이오협회와 일본제약공업협회가 공동으로 개최한 ‘제6차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