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17 (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기타

안전성평가연구소, 국내외 기관와 초격차기업 지원 협력 협약

정부출연연구기관인 안전성평가연구소(소장 정은주)는 연구소가 주관하는 초격차 스타트업 육성(DIPS 1000+)사업 참여기업들의 사업화 지원을 위해 투자유치, 기술이전, 인허가, 컨설팅 분야 국내외 전문기관들과 적극 협력키로 하고 29일 협약식을 가진다고 밝혔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 대강당에서 개최되는 이번 협약식에는 안전성평가연구소를 비롯해 미국 현지 법무법인과 사업화 지원 전문기관을 비롯해 국내 투자유치 및 인허가 등의 컨설팅 기관들이 참여한다.

미국 워싱턴 소재 법무법인 기연(대표변호사 장희석)과 역시 미국 락빌 소재 컨설팅 기업인 링커로스(LINKORUS. 대표 박지훈·홍선희), 국내 투자유치 전문기관인 와이앤아처 주식회사(대표 신진오·이호재), 인허가 등의 컨설팅 전문기관인 ㈜메드클래리스(대표 이주연), ㈜Y2KGIL(대표 강윤경)이 해당 기관들로, 특히 이스라엘 엑셀러레이터 기관인 인베스터블 솔루션즈(Investable Solutions. 대표 Aaron Rothenberg·Joseph Gil Konijn)도 국경을 초월한 지원에 참여한다.
   
초격차 스타트업 육성사업은 중소벤처기업부가 바이오헬스를 비롯해, 시스템
반도체, 미래 이동수단(모빌리티) 등 총 10개 초격차 분야 유망 창업기업의 집중
육성을 위해 사업화, R&D, 개방형 혁신, 투자 유치, 정책 자금 등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안전성평가연구소는 지난 20년부터 해당 사업의 바이오분야 주관
기관을 담당해 왔다.
  
 이번 협약의 참여 기관들은 초격차 사업 참여기업의 국내외 인허가 및 기술
 이전, M&A 등 성공적  글로벌 사업화를 위한 지원체계 구축과 이를 통한
 실질적 성과 창출을 견인한다는 계획이다.
 
 구체적으로는 글로벌 제약대기업과의 기술이전 및 M&A 적극 추진
 (기연), 미국 등 현지 법인 설립 및 협업(링커로스), 글로벌 인허가 및
 사업화 컨설팅(메드클라리스, Y2KGIL), 국내외 투자 연계(와이앤아처,
 Investable Solutions.)등 체계적이고도 전문적인 사업화 지원에 나설 예정이다.
 
 이 밖에도 초격차 기업의 글로벌 R&D와 다양한 기술 교류 행사 등의
 공동 개최와 네트워킹 및 파트너링 주선 등 해외 유관 산업계와의 기술
 협력 및 교류의 거점으로서의 역할도 담당하게 된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네이버쇼핑 라이브, 카카오쇼핑 라이브, 쿠팡 라이브 등 라이브커머스 통한.. 식품·화장품 부당광고 29건 적발 조치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네이버쇼핑 라이브, 카카오쇼핑 라이브, 쿠팡 라이브 등 라이브커머스(온라인 실시간 상거래) 방송에서 광고하는 식품·화장품·의료기기를 집중점검한 결과, 「식품 등의 표시‧광고에 관한 법률」, 「화장품법」, 「의료기기법」을 위반한 부당광고 총 29건을 적발하여 신속하게 접속 차단과 행정처분 등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이번 점검은 소비자와 실시간 소통하며 제품을 광고·판매하는 라이브커머스 방송이 새로운 전자상거래 방식으로 급부상함에 따라 부당광고로 인한 소비자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지난 4월부터 5월까지 약 2개월에 걸쳐 실시했다. ◆ 라이브커머스 방송(일명 ‘라방’) : 실시간 방송을 뜻하는 ‘라이브 스트리밍(Live Streaming)’과 전자상거래의 ‘e-커머스(e-commerce)’가 합쳐진 단어로 유명인, 전문 진행자 등이 소비자와 쌍방향으로 소통해 구매를 유도하는 방송 점검결과 식품 광고 18건, 화장품 광고 10건, 의료기기 광고 1건을 적발하였으며 해당 플랫폼 사 등에는 접속 차단을, 관할 행정기관에는 위반업체 행정처분 등을 의뢰했다. 이번에 적발된 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의 부당광고는 총 18건으로, 위반 내용은 ▲‘혈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