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4 (월)

  • 구름조금동두천 23.3℃
  • 구름많음강릉 23.8℃
  • 구름많음서울 24.4℃
  • 구름조금대전 26.5℃
  • 흐림대구 26.6℃
  • 구름많음울산 27.1℃
  • 흐림광주 23.9℃
  • 구름많음부산 23.3℃
  • 구름많음고창 24.4℃
  • 흐림제주 24.7℃
  • 구름조금강화 23.4℃
  • 구름많음보은 25.1℃
  • 구름많음금산 25.9℃
  • 흐림강진군 25.0℃
  • 구름많음경주시 27.3℃
  • 구름많음거제 23.6℃
기상청 제공

고려대 구로병원 산부인과 조현웅 교수, 대한부인종양학회 신풍호월 최우수 학술상 수상

고려대학교 구로병원(병원장 정희진) 산부인과 조현웅(고대의대 산부인과학교실) 교수가 제39차 대한부인종양학회 학술대회에서 신품 최우수 학술상을 수상했다.

신풍호월 학술상은 신풍제약과 대한부인종양학회가 공동으로 미래의 부인종양연구 및 학술분야에 연구업적과 학술 발전에 공로가 큰 연구자를 선정해 매년 수여하고 있다.

조현웅 교수는 ‘PARP 억제제 사용 재발 난소암 환자 대상 니라파립과 베바시주맙 유지 요법의 단일군 2상 연구’(A single-arm, phase II study of niraparib and bevacizumab maintenance therapy in platinum-sensitive, recurrent ovarian cancer patients previously treated with a PARP inhibitor)라는 주제로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조교수 연구팀은 최근 난소암 재발에 효과를 보고 있는 PARP 억제제 사용 환자 중 난소암이 재발한 환자를 대상으로 니라파립과 베바시주맙을 함께 투여하는 유지 요법을 시행한 뒤 효능과 안정성을 평가했다. 

PARP 저해제 치료 후 재발한 난소암에서 PARP 저해제(니라파립) 및 베바시주맙 병용요법을 시행하였을 때 의미있는 치료효과를 확인하였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동국제약, 센텔리안24 ‘마데카 리얼 그린 포어 노우즈 팩, 마스크’ 2종 출시 동국제약(대표이사 송준호)이 더마코스메틱 브랜드 센텔리안24의 ‘마데카 리얼 그린 포어 노우즈 팩, 마스크’ 2종을 출시하며, 얼굴 부위별 모공 솔루션 라인인 ‘마데카 리얼 그린 포어’ 라인업을 확장했다 ‘마데카 리얼 그린 포어 노우즈 팩’은 모공에 쌓인 피지를 부드럽게 녹여 주고, 남아있는 흔적까지 말끔히 닦아주는 코팩 제품이다. 1제, 2제 타입의 시트와 면봉이 동봉돼 섬세하고 체계적인 코 부위 모공 솔루션을 제공한다. 1제 시트는 코 부위 모공에 가득찬 피지를 부드럽게 연화시키고, 거즈면과 매끈한 면으로 이뤄진 2제 시트는 모공 부위를 진정시켜 준다. 또한, 자극으로 빨갛게 달아오른 모공과 하얗게 일어난 각질, 다크닝으로 까매진 모공 흔적 등 코 부위에 생긴 복합적인 고민을 즉각적으로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준다. 최적의 와이드 사이즈 디자인으로 다양한 코의 모양과 크기 상관없이 맞춤 커버할 수 있어 누구나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마데카 리얼 그린 포어 마스크’는 모공결과 모공 탄력을 5분 만에 케어하는 풀 페이스 모공 솔루션 제품이다. 얇은 마이크로 셀 시트와 시원한 겔링 에센스 텍스처가 만나 힘없이 늘어진 얼굴에 완벽 밀착되어 모공을 쫀쫀하게 관리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신장이식, 성공률은 높이고 부작용은 줄이고..타크로리무스 최적 농도 찾아 최근 신장이식 후 신장의 장기 생존을 돕는 면역억제제의 최적 농도를 규명한 연구 결과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제시됐다. 신장이식 후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중장기적인 신장 기능 유지 가능성이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 서울대병원·세브란스병원·삼성서울병원·서울아산병원·서울성모병원 공동연구팀(책임 연구자: 서울대병원 민상일·한아람 교수)은 2005년부터 2020년까지 신장이식 환자 11,868명의 데이터를 이용한 대규모 연구를 통해 최적의 면역억제요법을 규명했다고 24일 밝혔다. 타크로리무스(tacrolimus)는 신장이식 후 대부분의 환자에게 사용되는 주된 면역억제제로, 거부반응의 예방과 이식 신장의 장기 생존을 목표로 한다. 이 치료제를 과도하게 사용하면 신독성, 심장 합병증, 감염 등의 부작용이 증가할 수 있으며, 반대로 너무 적게 사용할 경우 거부반응 발생, 이식편 소실 등의 위험이 따를 수 있다. 따라서 장기간 신장이식 성적을 높일 수 있도록 타크로리무스의 최적 농도에 대한 규명이 필요한데, 지금껏 이에 대한 대규모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었다. 이에 연구팀은 5개 공동연구기관의 데이터 웨어하우스를 이용해 2005년부터 2020년까지 신장을 이식받은 환자 11,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