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청은 8월 1일자로 전국에 일본뇌염 경보를 발령하고 예방수칙 준수 및 예방접종 대상자의 접종을 당부하였다.
일본뇌염 매개모기 감시체계 운영 결과, 7월 30일 전남 완도군에서 일본뇌염 매개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가 전체 모기의 60.1%로 확인되었다. 올해 일본뇌염 경보 발령일은 전년 대비 지속된 폭우와 폭염 등의 기상 영향으로 모기 개체 수가 전반적으로 감소하면서 1주 지연된 경보 발령이다.

일본뇌염을 매개하는 작은빨간집모기는 논이나 축사, 웅덩이 등에 서식하는 암갈색의 소형 모기로 주로 야간에 흡혈 활동을 하며, 우리나라 전역에서 발생하고 8~9월에 밀도가 정점에 달하며 10월 말까지 활동하는 것으로 관찰된다.

일본뇌염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주로 발열 및 두통 등 가벼운 증상이 나타나지만, 드물게 뇌염으로 진행될 시 고열, 발작, 목 경직, 착란, 경련, 마비 등 심각한 증상이 나타나며 이 중 2030%는 사망할 수 있다. 특히 뇌염으로 진행될 경우 증상이 회복되어도 환자의 3050%는 손상 부위에 따라 다양한 신경계 합병증을 겪을 수 있다.
국내 일본뇌염 환자는 매년 20명 내외로 발생하며, 대부분 8~9월에 첫 환자가 신고되고 11월까지 발생한다. 최근 5년간 일본뇌염으로 신고된 환자는 총 79명이며, 이 중 90%가 50대 이상이다.

임상 증상은 발열, 의식 변화, 뇌염, 두통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환자의 79.7%에서 인지장애, 마비, 언어장애, 운동장애, 정신장애 등의 합병증이 확인되었다.
일본뇌염은 효과적인 백신이 있으므로, 국가예방접종 대상인 12세 이하 어린이는 표준 예방접종 일정에 맞춰 접종할 것을 권고하였다.

또한 과거 일본뇌염 예방접종 경험이 없는 18세 이상 성인 중 위험지역에 거주하거나 전파 시기에 해당 지역에서 활동 예정인 경우, 비유행 지역에서 이주하여 국내에 장기 거주할 외국인, 일본뇌염 위험 국가 여행자 등에 대해서도 예방접종을 권장하고 있다.
임승관 질병관리청장은 “여름철 야외 활동 시 일본뇌염 매개모기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일본뇌염 예방을 위해서는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예방수칙을 준수하고, 예방접종 대상자는 접종 일정에 맞춰 접종을 받아주실 것”을 강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