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9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불면증치료제 스틸녹스CR 제품 브로셔, 2011 세계적인 광고제에서 영예의 2관왕

스틸녹스CR의 수면유지 효과에 대한 참신한 표현력과 작품의 완성도를 인정받은 결과, 클리오 어워드 및 RX클럽 광고제에서 수상

세계적인 헬스케어 기업인 사노피-아벤티스 코리아의 불면증치료제 스틸녹스CR의 제품 브로셔가 대표적인 글로벌 광고제인 2011 클리오 어워드(CLIO Award) 헬스케어 부문에서 동상 (Bronze)과 RX 클럽 (The RX Club)에서 우수상(Excellence)을 수상하는 쾌거를 이뤘다.

의약전문인에게 스틸녹스CR의 수면유지장애 개선 효과에 대한 정보 제공을 위해 올해 제작된 브로셔는 한 여성이 밤 동안 깨지 않고 지속적인 수면을 취함으로써 상쾌한 아침을 맞이한다는 스토리를 반영한 새로운 디자인을 도입했다.

그 결과 수면유지장애 개선에 효과적인 스틸녹스CR의 차별화된 메세지를 전달하는 표현의 참신성과 작품의 완성도를 높이 평가 받아 대표적인 2개의 글로벌 광고제에서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장 마리 아르노 사노피-아벤티스 코리아 사장은 “스틸녹스CR의 수면유지 개선 효과를 시각적으로 전달하는 참신한 디자인의 제품 브로셔가 전세계적으로 명성 높은 두 개의 글로벌 광고제에서 수상을 하게 되어 매우 기쁘다”며, “이번 브로셔가 스틸녹스CR에 대한 긍정적인 브랜드 이미지를 높이기를 기대하며, 앞으로도 스틸녹스CR이 수면장애로 고통 받는 환자들을 위한 치료제로 기여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클리오 어워드(CLIO Award)는 칸 국제광고제, 뉴욕페스티벌과 함께 전세계 3대 광고제 중 하나로 꼽히며, 매년 전세계 65개 국에서 1만 건 이상의 작품이 접수되는 대표적인 국제 광고제이다. 올해로 25주년을 맞이하는 RX 클럽(The RX Club)은 헬스케어 분야에서 마케팅 활동을 하는 제약사와 광고회사들을 대상으로 “창조성”에 가장 중점을 두고 수여하는 광고제로 세계적으로 그 명성을 인정받고 있다.

스틸녹스는 최초의 비-벤조디아제핀 계열의 불면증 치료제로 전세계 및 국내 시장에서 1위를 점유하고 있는 불면증 치료제다. 특히 CR(controlled release) 제형은 24주간의 임상시험을 통해 수면유도와 수면유지 장애 개선에 있어서의 효과와 내약성을 모두 입증하였으며, 기존의 스틸녹스 IR(immediate release) 에 비해 수면유지 효과를 더욱 개선시킨 제품이다. 스틸녹스CR은 신속하게 최고 혈중 농도에 도달하여 수면을 유도하고, 유효 약물 농도를 유지하며 수면 유지를 강화하며, 신속하게 약물을 대사해 수면 후 잔여 효과를 적게 느끼게 하는 불면증 치료를 위한 효과적인 치료 옵션으로 평가 받고 있다.

사노피-아벤티스 코리아는 ‘슬립 e-아카데미’(Sleep e-Academy, www.stilnox.co.kr) 웹사이트를 통해 의약전문인을 대상으로 수면장애 및 스틸녹스 제품, 올바른 치료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다른 만성질환 환자에서 동반되는 수면장애에 대한 정보 및 치료 방법을 소개하는 온라인 세미나 강연 프로그램인 ‘스틸녹스 e-심포지엄’을 통해 올바른 불면증 치료 및 수면제 사용에 대한 교육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소아비만, 부모 '이것'이 가장 큰 문제? 소아비만은 흔히 가족의 잘못이 아닌 자녀 '개인의 탓'으로 여겨지곤 한다. 그러나 자녀의 비만이 부모 무관심에서 비롯되거나 부모로부터 대물림된다는 최신 연구 결과가 잇따라 나오면서 '가족 전체의 문제'로 봐야한다는 주장이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특히 자녀의 비만은 가족의 태도, 생활습관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가족 내에서 △불규칙한 식사 패턴 △적은 활동량 △야식·배달음식 등 같은 식생활습관이 일상에 자리잡으며 세대 간 자연스럽게 전파된다는 이유에서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가족 건강, 그중에서도 소아비만의 가족 책임사례를 외신 연구 결과를 통해 파악하고 치료방안을 비만 치료 전문가 자문을 통해 들어 봤다. ◆부모의 무관심, 비만여부가 아이를 더 뚱뚱하게 만든다? 자녀에게 무관심하거나 권위주의적인 부모 아래 자란 아이들은 그렇지 않은 아이들에 비해 체중이 많이 나갈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임페리얼칼리지런던 경영대학원 연구진은 20년에 걸쳐 아동 1만 여명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2022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연구진은 양육방식을 부모와 자녀 설문을 통해 △권위주의적인 △따뜻한 △방임하거나 무관심한 등 네 개의 유형으로 분류했다.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