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0 (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국회

4년이상 빈곤층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수급자수 전체의 43%... 993,923명 달해

더불어민주당 전혜숙의원(서울 광진갑/보건복지위원회)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기초생활보장제도 최초 수급판정이후 지속현황자료에 따르면, 4년이상 빈곤층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수급자수는 전체의 43%993,923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생산가능연령층인 25~59347,856명도 4년이상 기초생활수급대상에서 벗어나지 못하며 빈곤층으로 유지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기초생활보장제도 최초 수급판정이후 지속현황(‘16.12월기준)]

(단위: )

구분

합계

1~2년미만

2~3년미만

3~4년미만

4년이상

합 계

2,297,380

956,119

194,650

152,688

993,923

100%

42%

8%

7%

43%

25~59

790,302

310,254

76,078

56,114

347,856

100%

39%

10%

7%

44%

19세이하

541,247

341,934

25,491

21,031

152,791

100%

63%

5%

4%

29%

20~24

196,548

70,814

25,807

22,472

77,455

100%

36%

13%

11%

40%

25~29

98,778

56,484

14,106

9,393

18,795

100%

57%

14%

10%

19%

30~34

41,766

23,204

4,510

2,882

11,170

100%

56%

11%

7%

26%

35~39

52,895

23,802

4,959

3,719

20,415

100%

45%

9%

7%

38%

40~44

92,874

36,001

8,032

6,282

42,559

100%

39%

9%

7%

46%

45~49

154,203

53,571

13,182

10,690

76,760

100%

35%

9%

7%

50%

50~54

172,754

58,295

15,477

11,892

87,090

100%

34%

9%

7%

50%

55~59

177,032

58,897

15,812

11,256

91,067

100%

33%

9%

6%

52%

60~64

134,864

44,939

11,546

8,330

70,049

100%

33%

9%

6%

52%

65세이상

634,419

188,178

55,728

44,741

345,772

100%

30%

9%

7%

55%

 

특히 최근 3년간 수급자 지속현황을 비교해보면, 4년이상 수급지속자수는 2014884,499명이며, 2015941,881, 2016년에는 993,923명으로 5만여명씩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빈곤화가 고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기초생활보장제도에서 탈수급하였다가 자립생활을 유지하지 못하고 다시 수급자가 된 사람은 최근 5년간 89,655명에 달한다. 이는 기초생활수급자가 근로소득을 통해 자립할 가능성도 낮을 뿐만 아니라, 벗어나더라도 다시 빈곤의 나락으로 떨어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초생활보장제도는 생활이 어려운 자에게 최저생활을 보장하고 자립을 유도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입되었지만, 이번 통계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자립유도의 효과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지난 2015년 기초생활수급자 708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본인의 탈수급 가능성에 대해서 벗어나기 힘들 것이다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67.4%에 달했다. 오랜시간 빈곤층에서 탈출하지 못하며 탈수급에 대한 의지마저 줄고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기초생활보장 탈수급 전망]

구분

6개월이내

6개월후

~1년이내

1년후

~3년이내

3년후

벗어나기 힘들것이다

잘모르겠다

합계

응답률

0.9%

1.3%

2.5%

2.6%

67.4%

25.9%

100%

 

전혜숙 의원은제도 도입이후 정부는 빈곤사각지대 해소와 부정수급자 색출을 위한 제도개편은 빈번하게 시행한 반면, 탈수급을 위한 계층이동 사다리를 만드는 것에는 상대적으로 무관심했다기초생활보장제도는 어려운 상황에 처한 국민을 보호하기 위한 사회안전망으로서, 계속 빈곤층에 머물러 포기하게 하는 목적이 아닌, 탈수급과 자활의 의지를 북돋는 제도로서 기능해야한다고 지적했다.

 

이어,“소득인정유예기간을 도입하거나, 소득심사기준을 보완하는 등 제도적 개편을 통해 정부의 지원이 없어도 지속적으로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계층이동의 사다리를 견고하게 만들어주어야 한다고 당부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의협 성분명처방·한의사X레이 반대 ...국회앞 1인시위 열기 고조 대한의사협회(회장 김택우)가 성분명처방 강제화 및 한의사 불법 엑스레이 사용 등 국민건강을 위협하는 의료개악에 맞서기 위해 국회 앞 1인시위를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20일 아침에는 박명하 상근부회장이 시위에 나섰다. 박명하 상근부회장은 “성분명처방은 수급불안정의약품 문제의 근본 원인을 찾아서 해결해야 할 정부가 의사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것”이라며 “국민건강에 심각한 위해를 줄 수 있는 성분명처방 강제화를 섣불리 법제화 하는 것은 대단히 위험한 발상”이라고 반대의사를 강력히 밝혔다. 이어서 한의사 엑스레이(X-ray) 사용에 대해 “서영석 의원이 입법취지에서 수원지방법원 판결을 근거로 들고 있는데, 이는 명백히 잘못된 내용이다. 해당 사건의 기기는 내장돼 있는 프로그램을 이용한 성장추정치가 자동으로 추출되는 것으로, 성장판 부위를 기초로 영상진단행위를 하지 않았고 성장추정치를 진료에 참고하였을 뿐이라는 취지로 무죄 판결이 난 것이며, 이는 피고인의 억지 주장을 받아들여 형사 처분 대상이 아니라고 본 것일 뿐, 한의사의 엑스레이 사용을 합법화하거나 정당화한 판결이 결코 아니다”라고 설명하고 “의료법상 엄연히 한의사 면허범위를 벗어나는 행위를 합법화해 국민의 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