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5 (금)

  • 맑음동두천 12.6℃
  • 맑음강릉 16.3℃
  • 맑음서울 12.6℃
  • 맑음대전 13.3℃
  • 맑음대구 15.9℃
  • 맑음울산 15.9℃
  • 맑음광주 13.2℃
  • 맑음부산 14.0℃
  • 맑음고창 9.8℃
  • 맑음제주 13.7℃
  • 맑음강화 11.4℃
  • 맑음보은 12.3℃
  • 맑음금산 12.3℃
  • 맑음강진군 13.6℃
  • 맑음경주시 16.0℃
  • 맑음거제 13.4℃
기상청 제공

기타

뤼튼, 아시아 최대 생성AI 컨퍼런스 'GAA 2023' 개최

글로벌 AI 기업 한 자리에...네이버클라우드, 카카오브레인, 허깅페이스, 코히어,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웹서비스 등 국내외 16개 AI 기업 참여



올인원 AI(인공지능) 플랫폼 ‘뤼튼테크놀로지스(대표 이세영, 이하 뤼튼)’가 아시아 최대 규모의 생성 AI 컨퍼런스 ‘GAA 2023(Generative AI Asia 2023)’을 31일 개최했다. GAA 2023은 네이버클라우드와 카카오브레인, 허깅페이스, 코히어,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웹서비스 등 국내외 16개 AI 기업이 참여한 글로벌 컨퍼런스다. 


뤼튼 이세영 대표는 31일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 오키드룸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전세계적으로 생성 AI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는 가운데 모두를 위한 AI를 함께 의논하고 방향을 모색하고자 이번 컨퍼런스를 개최하게 됐다”고 개최 배경을 밝혔다. 이 대표 외에도 제성원 CPO, 김재민 LMOps(Language Model Operations) 리드, 김유빈 ML 엔지니어 등도 참석해 80여 명의 국내외 미디어 앞에서 컨퍼런스에 대한 프리뷰를 진행했다. 이 자리에서 김유빈 엔지니어는 대화형 생성 AI에 있어 프롬프트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뤼튼이 국내 최초로 진행한 프롬프트 엔지니어 공채 배경과 이를 통한 뤼튼의 AI 생태계 비전에 대해 설명하기도 했다. 

 

뤼튼 이세영 대표는 이날 오전 컨퍼런스 키노트 스피치 ‘Next Platform, 모두를 위한 AI’를 통해 뤼튼 플러그인 기능에 참여하는 20여개 파트너사를 공개한다. 6월 중 공개될 뤼튼 플러그인은 외부 파트너사 정보와 서비스를 생성 AI와 결합함으로써 이용자에게 더욱 구체적이고 실용적인 답변을 제공하게 된다. 1차로 금융, 이커머스, 패션, 부동산 등 17개 분야에서 21개 기업들이 동참하며, 참여 기업은 계속 확대될 전망이다. 향후 뤼튼과 파트너사들은 플러그인을 통해 제공될 정보와 서비스 범위, 내용에 대해 함께 논의하며 개발을 진행한다.

 

뤼튼 플러그인 참여 파트너사로 우선적으로 이름을 올린 곳은 ▲하나금융그룹/KB금융그룹(금융), ▲ 지마켓(이커머스), ▲직방(부동산), ▲라포랩스(패션), ▲로앤굿(법률),  ▲아모레퍼시픽(뷰티/미용), ▲신세계라이브쇼핑(홈쇼핑), ▲마이리얼트립(여행), ▲타다(모빌리티), ▲DBPIA(지식), ▲닥터나우/강남언니(의료), ▲원티드/프리모아(구인구직), ▲올스테이(숙박), ▲식신(맛집 검색), ▲유데미/클래스101(교육/강의), ▲온오프믹스(행사/이벤트), ▲플랜핏(건강/피트니스) 등이다.

 

또 이 대표는 국내 최초로 전면 개방하는 노코드 AI 툴빌더 ‘뤼튼 스튜디오’도 이번 키노트 스피치에서 공식 공개한다. 앞으로 ‘뤼튼 스튜디오’를 활용해 노코드 기반으로 AI툴을 제작하고 선보일 각 계 전문가 20명도 프런티어단으로 구성해 함께 소개한다. 빅데이터와 AI, 테크 분야는 물론, 유튜브 크리에이터, 정신건강, 생산성, 경제, 경영, 마케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전문가들이 참여했다. 이 대표의 키노트 스피치에는 뤼튼이 국내 최초로 진행한 프롬프트 엔지니어 공채로 합류한 강수진 박사(한국언어학/대화분석)도 무대에 올라 생성 AI와 프롬프트의 의미와 중요성, 뤼튼의 프롬프트 비전 등에 대해 발표한다. 이어 김재민 리드가 뤼튼이 제공하는 플러그인, 스튜디오, 대화형 AI 인터페이스를 효율적으로 지원하고 모델, API, 코드 실행, 디바이스 기능을 관제하는 MoM(Model of Models) 시스템과 관련 기술을 소개한다. 

 

이날 GAA 2023 컨퍼런스의 메인 스피치는 네이버클라우드 성낙호 이사가 ‘HyperCLOVA X, 우리의 경쟁력’ 세션으로 포문을 연다. 성낙호 이사는 네이버의 한국형 초대규모 AI 하이퍼클로바의 특징과 필요성, 전문 영역 활용 방향 등에 대해 소개한다. 이어 카카오브레인 김일두 대표가 AI 딥테크 기업의 생태계 전략에 대해 ‘Spark of 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 제목의 강연을 진행한다. 김일두 대표는 이미지와 언어를 아우르는 멀티모달 AI 파운데이션 모델로 개발중인 자사 이미지 생성 AI 칼로(Karlo)를 소개하고, 머신러닝을 넘어서는 AI/AGI에 대해 조명한다. 

 

오후에는 ‘생성 AI 패널 토크’를 통해 뤼튼 현지웅 ML 엔지니어와 라이너 김진우 대표, 프렌들리AI 전병곤 대표 그리고 스캐터랩 김종윤 대표 등이 생태계 현황과 이슈들에 대해 이야기한다. 이어 국내 생성 AI에 도전하는 초기 스타트업들을 위한 발표 무대도 선보인다. 팀모노리스의 엄은상 대표와 코디미의 정지혜 대표 그리고 오노마AI의 송민 대표 등이 참석해 생성 AI 초기 스타트업들의 사업과 성장 전략을 소개한다.

 

글로벌 연사들의 세션도 연달아 준비되어 있다. <블리츠스케일링>의 저자이자 실리콘밸리 현지 벤처캐피털(VC)을 운영하고 있는 크리스 예(Chris Yeh)가 ‘AI 시대의 블리츠스케일링’에 대해 강연하고, 오픈소스 AI 진영을 대표하는 미국 허깅페이스(Hugging Face)의 토마스 울프 (Thomas Wolf) 공동창립자 겸 최고과학책임자(CSO)를 연결해 생성 AI 생태계, 챗봇, 생성 AI의 입출력 데이터 형식 등에 대해 이야기 나눈다. 최근 유니콘 대열에 합류한 캐나다 AI 스타트업 코히어(Cohere)에서는 닐스 라이머스(Nils Reimers) 머신러닝리더(Head of ML)가 파이어사이드 챗을 통해 AI 트레이닝 기법, 데이터 수집, 프롬프트 기법 등에 대해 소개한다.

 

이외에도 서울대 인공지능정책 이니셔티브 및 김앤장 법률사무소의 이지은 변호사가 나서 전세계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AI 윤리에 대해 ‘Generative AI와 법’을 주제로 한 세션을 선보인다. 마이크로소프트(MS)에서는 고광범 부문장이 참석해 ‘마이크로소프트가 바라보는 생성AI의 현재와 미래’에 대해 강연하고, 아마존웹서비스(AWS)의 Anurag Seth Principal AI/ML Advisor가 ‘생성AI : 기회와 도전, 떠오르는 아키텍쳐와 오픈소스 생태계’에 대한 의견을 공유한다. 아리아의 채수응 대표도 ‘생성AI 엔터테인먼트’를 주제로 이야기하는 시간을 갖는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식약처, 한국정책학회 최우수정책상 수상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2025 한국정책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수입 규제행정의 디지털 전환으로 업무 효율화 및 규제비용 절감(전자심사24)’ 정책이 ‘최우수정책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최우수정책상’은 중앙부처, 지자체, 공공기관의 우수 정책사례를 발굴하고 국민에게 알리기 위해 한국정책학회(학회장 박형준) 주최로 지난 2010년부터 시행되는 상이다. ‘수입식품 전자심사24’는 사람이 하던 서류검사 업무를 디지털 심사로 전환해 수입식품 검사 행정의 효율성을 높이고 통관 시간·비용을 대폭 절감해 영업자의 부담을 해소하는 정책이다. 식약처는 ‘수입식품 전자심사24’를 ’23년부터 단계적으로 도입해 올해 초 모든 수입식품에 적용했으며 작년 한 해 약 8만 건을 자동 심사했다. 올해는 위생용품인 구강관리용품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아울러 식약처는 합리적인 제도 개선을 위해 법제처와 협력하여 ’23년 6월 「수입식품안전관리 특별법」에 법률 근거*를 마련했으며 전담조직 신설과 정부혁신 실행계획 수립 등 규제행정의 디지털 혁신을 지속 추진해왔다. 식약처는 올해 3월 정부 기관 최초로 인공지능경영시스템(ISO/IEC 42001) 인증을 취득하며 우리 수입식품 분야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제약바이오협회, 창립 80주년 기념 ‘제약바이오 오픈하우스’ 개최 한국제약바이오협회(회장 노연홍)는 창립 80주년을 맞아 제약바이오산업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제약바이오 오픈하우스’ 행사를 마련했다고 25일 밝혔다. 첫 번째 오픈하우스는 지난 24일 협회 의약품광고심의위원회를 초청해 충북 음성에 위치한 한독의 생산시설과 의약박물관을 방문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의약품광고심의위원회는 약학, 약리, 광고, 법률 전문가를 비롯 소비자단체, 유관기관, 산업계 전문가를 포함하여 총 14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약 3시간 동안 이어진 이번 오픈하우스는 ‘의약품 생산과 ESG’를 주제로 생산라인과 의약박물관을 둘러본 뒤 산업 발전 방안에 대해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장춘곤 광고심의위원장은 “제약바이오 산업의 과거와 현재를 함께 볼 수 있어 뜻깊었다”며, “동의보감 초간본, 약연·약맷돌·약절구 등의 약연기(藥碾器)류, 근현대 수술도구 등부터 최신 GMP 생산시설까지 다양한 전시와 현장을 통해 산업의 발전 과정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자리였다”고 말했다. 이어 “평소 쉽게 접하기 어려운 첨단 생산설비와 품질관리 전반을 확인하면서, 산업의 중요성과 역할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보는 계기가 됐다”고 덧붙였다. 이번 오픈하우스 행사에는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연세의료원, 제중원 140주년 기념... 100년 전 세브란스병원 영상 공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동은의학박물관이 제중원 창립 140주년을 맞아 1930년 전후 세브란스병원에서 활동한 의료선교사 노먼 파운드(Norman Found)가 직접 촬영한 희귀 필름 영상을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한 필름은 1927년부터 1935년까지 파운드 선교사가 세브란스병원에서 진료 및 교육 활동을 펼치던 시기에 직접 촬영한 영상이다. 동은의학박물관이 파운드 선교사의 후손으로부터 기증받은 9.5mm 필름을 디지털 복원한 것이다. 영상에서는 세브란스병원 소아과 병동과 더글라스 B. 에비슨 박사를 만나볼 수 있다. 환아들이 병동에서 우유를 먹는 모습과 함께 간호사가 환자를 돌보는 모습 등을 다채롭게 담았다. 더글라스 B. 에비슨 박사는 세브란스병원과 한국 의학 발전에 큰 역할을 한 올리버 R. 에비슨의 아들이다. 미국 북장로교 소속 의료선교사로 1923년 세브란스연합의학전문학교 교수로 부임했다. 그의 부임과 함께 세브란스의전에서 소아과학교실이 독립된 학과로 운영되기 시작했으며 초대 과장으로 활약한다. 또 조선에서 널리 유행한 말라리아 치료법에 관해 연구를 진행하기도 했다. 노먼 파운드는 의학교 학생과 교수들이 졸업식장을 향하는 모습, 간호사와 간호학생 모습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