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루다(164060, 대표이사 김용한)는 자사의 차세대 레이저 장비 ‘리팟’이 태국 식약처로부터 판매 인증을 획득했다고 4일 밝혔다. 이루다의 차세대 장비 '리팟'은 532nm 파장의 Q-Switched ND:YAG 레이저 소스에 'VSLS' 기술이 적용된 기기로, 2022년 론칭했다. 뛰어난 성능과 철저한 사후관리를 통해 미용의료기기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지난해부터는 본격적인 해외 판매를 위한 준비 작업을 진행해왔다. 태국은 주변 국가 대비 미용의료기기 시장 규모가 크고 다양한 시술이 이루어지고 있다. 회사는 이번 판매 인증이 태국 및 주변 국가를 비롯한 아시아 시장 확대의 교두보를 마련하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평가했다.
셀루메드(049180)가 최근 동종골 이식재 원재료 수급 문제를 해소하여 하반기 본격적인 실적 성장이 기대된다고 3일 밝혔다. 셀루메드는 현재 동종골 이식재 ‘덴탈 파우더’와 골재생 의료기기 ‘라퓨젠(Rafugen) DBM’, 동종피부(ADM) 이식재, 골형성 단백질 ‘Bio BMP2’ 등의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한동안 핵심 원재료인 인체조직 수급이 불안정해 시장의 기대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했으나 최근 공급이 안정적으로 재개되면서 원재료 수급 문제를 해소했다. 동종 이식재는 감염 위험성이 낮고 유착 능력이 우수해 업계에서 최고의 이식재로 평가받고 있다. 동종 이식재는 인체 조직으로부터 추출한다는 점에서 원재료 수급이 생산량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 국내에서 유통되는 인체조직은 크게 국내 인체조직과 해외 인체조직으로 분류된다. 최근 고령화와 이식 기술의 발달, 이종 및 합성 이식재 대비 높은 안전성 등의 이유로 해외 인체조직 수입이 증가하는 추세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2022년 해외 인체조직의 수입은 79만 9,352개로 전체 국내 수량의 92.9%를 차지했으며 국내 인체조직 기증은 6만 878개(7.1%)를 차지했다. 지난해 셀루메드는 DBM, 덴탈파
휴온스그룹의 의료기기 전문 기업 휴온스메디텍이 고객지원팀 신설을 통해 고객 감동 경영에 박차를 가한다. (주)휴온스메디텍(대표 이진석)은 2일 성남 본사에서 '고객지원팀 발대식'을 가졌다. 이날 신설된 고객지원팀은 그간 지속해왔던 고객 서비스 부문을 더욱 체계적으로 운영하고 한층 강화해 고객 응대 서비스의 신속성과 정확성까지 더해 고객 감동을 위한 방침과 제도, 정책을 고도화 한다는 계획이다. 이날 발대식에 참석한 임직원들은 고객 감동 경영에 대한 의지를 표명하는 선서를 통해 고객 중심적이고 친화적인 고객 지원 문화 조성에 앞장설 것을 다짐했다. 휴온스메디텍은 의료기기 서비스의 체계성을 확보해 사후 관리 및 대외 소통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나아가 직원들의 서비스 의식 제고를 통해 글로벌 경영 흐름에 맞춘 기업으로 나아가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휴온스메디텍 이진석 대표는 “의료기기 회사의 핵심 경쟁력은 제품의 기술력과 품질, 사후 서비스를 통한 고객 감동 극대화에 있다”며 “고객 만족 경영을 최우선으로 임직원 모두가 한발 더 뛰는 서비스를 목표로 기업의 경쟁력과 고객 감동을 실현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휴온스메디텍은 의료기기, 감염관리기기 및 의료용
최근 해외 여행 붐을 타고 컬러안경렌즈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케미렌즈, 데코비전 등 안경렌즈업계는 엔데믹 후 해외 여행 시장이 살아나면서 선글라스나 변색렌즈 등 컬러안경렌즈에 대한 주문이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5월 부모님을 모시고 일본 여행을 다녀온 A씨는 출국전, 부모님용 선글라스와 본인용으로 변색렌즈를 구입했다. 평소, 야외활동으로 햇볕 노출이 잦은 부모님이 선글라스가 필요하겠다고 생각했던 터라 이번 기회에 장만해드렸다. 자신은 선글라스 겸용 안경으로 인기가 높은 변색렌즈를 구입했다. 가정의 달을 앞둔 지난 4월이후 부터, 컬러렌즈에 대한 주문이 증가 하여, 주문생산을 진행하는 선글라스용 컬러렌즈 및 변색렌즈는, 제작완료 및 납기 시간이 좀더 길어 질 수 있어, 미리 준비하는 것이 여행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업계는 여름 휴가 시즌이 본격 시작되는 7월부터는 컬러안경렌즈 수요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실제, 방학과 휴가로 해외 여행을 앞둔 대학생과 직장인들의 선글라스나 변색렌즈 주문이 벌써부터 늘어나고 있다는 설명이다. 여행 업계에서는 해외여행 수요가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거의 회복되었다는 설명이다. 한편. 컬러안경렌즈
솔바이오(각자대표 백세환, 반경식)가 글로벌 사업 확장을 앞두고 연구개발 및 지원인력을 확충하기 위해 '한국판 실리콘밸리' 심장부인 서울시 구로구 소재 G밸리로 사옥을 확장 이전했다. 솔바이오는 최근 자사 엑소좀 면역분리키트 '뉴트라릴리스'가 조달청 혁신제품으로 지정돼 내수매출에 청신호가 켜진데 이어, 중국 산둥성 지난시와의 엑소좀 협력사업 협약과 프랑스 명품 향(香) 전문기업 SCAP과 한불 합작 화장품기업 '스캅코리아' 설립 협약을 체결하는 등 글로벌 엑소좀 사업이 급진전하고 있어 개발지원과 인재확보에 유리한 구로디지털단지 G밸리로 사옥을 이전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솔바이오가 이전한 G밸리는 총 1만3,000여 기업이 입주해 15만명이 근무하는 국내 최대 첨단지식산업단지로, 2022년 연간 입주기업 생산액이 14조원에 달하는 국내 벤처산업의 최대 집적지다. 서울 의료기기 업체의 30% 이상이 G밸리에 입주해 있고, 산업단지 내에 각종 개발 인프라를 갖춘 개발지원기관도 다수 운영중이다. 솔바이오는 세계 최고 수준의 엑소좀 분리 원천기술 '뉴트라릴리스'와 면역분석기술 '엑소메인', '엑소좀 기반 암 조기진단 기술'을 보유한 혁신바이오벤처기업이다. 한국, 일본
메디웨일 (대표 최태근)은 글로벌 제약사 존슨앤드존슨 (Johnson & Johnson) 이노베이션이 운영하는 글로벌 엑셀러레이터 플랫폼 ‘제이랩스 (JLABS)’의 기업으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제이랩스는 수개월에 걸친 엄격한 평가 과정을 통해 기업을 선별하며, 선정된 기업은 전 세계 제이랩스 지사의 제약 및 의료 기술 분야를 포함한 광범위한 ▲전문 지식 ▲연구 자문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할 수 있다. 제이랩스는 존슨앤드존슨 산하의 전문 엑셀러레이터 기관으로 전 세계 11개 지역(북미 7곳, 유럽 1곳, 아시아 3곳) 에서 거점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올해 제이랩스 코리아(JLABS KOREA)를 설립하고 보건복지부의 글로벌 액셀러레이터 플랫폼 주관 사업자로 최종 선정되어 한국 제약바이오·의료기기 기업의 경쟁력을 향상시켜 속도감 있게 글로벌 마켓에 나갈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한다.
메디컬 AI 전문 기업 피맥스(PMX, 대표 김한석)는 최근 의료 영상 인공지능 전용 구동 클라우드 플랫폼인 메디오맥스(MediOMx)가 미국 FDA 인허가(510K)를 승인받았다고 25일 밝혔다. 피맥스 김한석 대표(외과의사)는 “메디오맥스는 의료 영상 데이터기반의 인공지능들을 연구목적 그리고 보험 심사 목적 모두 서비스할 수 있도록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를 구성하여 FDA를 승인받았다. 이를 기반으로 피맥스는 자사의 국내 인허가를 받은 치매 진단보조 뇌 MRI 인공지능들을 뉴욕 마운트사이나이병원, 볼티모어 존스홉킨스 병원, 그리고 인도에 있는 병원들에 클라우드 기반으로 서비스를 하고 있다”고 전했다. 피맥스는 메디오맥스를 통하여 환자데이터의 발췌, 업로드, 인공지능 구동 및 인공지능의 결과 다운로드라는 병원에서 인공지능을 구동하는데 필요한 모든 과정 들을 모두 웹 브라우저 클라우드 기반으로 구동한다. 환자 데이터 보안과 인증 그리고 디도스 공격과 같은 사이버보안 문제들을 해결한 클라우드 플랫폼을 인허가 받았다. 미국 현지의 PACS, EMR, VNA를 이용하지 않고, 메디오맥스 플랫폼 위에서 웹기반으로 바로 구동하고 병원 별 클라우드 공간을 부여하여, 인
시지바이오(대표이사 유현승)는 최근 개최된 브라질 상파울루 국제의료기기전시회(Hospitalar 2024)에 참가해 본격적인 중남미 의료기기 시장 진출 및 새로운 판로 개척에 나섰다고 14일 밝혔다. 브라질 상파울루 국제의료기기전시회는 중남미 최대 의료산업 전시회로, 전 세계 70만 명 이상의 의료 전문가와 120개 이상의 컨퍼런스 프로그램을 통해 기업 간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만남의 장이자 글로벌 의료기기 업계의 최신 기술 및 발전 동향을 볼 수 있는 글로벌 행사다. 매년 약 1,000개 이상의 참가기업과 5만 명 이상의 방문객을 끌어 모으며, 30년 넘게 의료산업 전시회의 선두 자리를 지키고 있다. 시지바이오는 이번 전시회에서 ▲큐라시스2&큐라백(CURASYS2 & CURAVAC) ▲노보시스(NOVOSIS) ▲노보맥스(NOVOMAX) ▲엑센더(EXCENDER) ▲메디클로(MEDICLORE) 등 다양한 의료기기 제품을 선보였다. 해당 제품들은 각각 음압 상처치료를 위한 창상피복재, 척추 유합술에 적용되는 골대체재, 생체활성 유리 세라믹 소재의 경추용 케이지, 척추 질환에 시술하는 차세대 높이확장형 케이지, 외과적 수술 시 사용하는 유착방지제 등
웨이센(대표 김경남)이 전주예수병원(병원장 신충식)에 웨이메드 엔도를 공급한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인공지능 위, 대장 내시경 ‘웨이메드 엔도’ 공급은 과학기술정통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에서 주관하는 2024년 AI 바우처 지원사업에 선정되며 체결됐다. 이 사업은 의료기관, 벤처·중견 기업 등이 단기간 내에 최적의 AI 솔루션을 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병원은 AI 제품에 대한 도입 비용을 지원받고 AI 기업은 AI 제품을 확산할 수 있어 전주 예수병원은 해당 사업으로 전북 지역 내 최초 인공지능 위, 대장 내시경 소프트웨어 도입 의료기관 타이틀을 확보했다. 웨이메드 엔도는 인공지능으로 내시경 영상을 실시간으로 분석해 위/대장 내시경 검사와 동시에 실시간으로 의료진을 보조해 이상병변을 놓치지 않고 감지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의료기기 소프트웨어다. 위, 대장 내 이상병변을 빠르고 정확하게 놓치지 않는 것이 제품의 핵심이며, 기존의 내시경 장비와 연동해 사용이 가능하다. 국내 최초 식약처 2등급, 3등급 의료기기를 확보하였으며, 나아가 지난 3월에는 위암 가능성 예측 및 침범깊이 분류 기술을 더해 세계 최초 위암 침범깊이를 분석하는 의
30대 후반의 대기업 사무직 직장인 10년차 A과장.그는 작년 말이나 올 초부터 컴퓨터나 스마트폰을 볼 때 무언가 불편하다는 느낌이 들었다. A씨처럼 컴퓨터나 스마트폰 사용시, 평소처럼 가까이 보기가 불편해 무의식적으로 멀리 두어 보는 것이 편안하다는 기분을 느껴본 적이 있다면 중년안이 찾아 왔음을 알리는 신호탄일 수 있다. 최근 디지털기기 사용으로 30대 후반에 중년안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컴퓨터와 스마트폰의 사용은 온라인 중심의 라이프 사이클의 변화로 인한 불가피한 선택이다. 이와함께 중년안의 발생 시기도 종전 40대중반~50대에서 30대후반으로 앞당겨지고 있는 추세이다. 안경렌즈 종합 브랜드사 케미렌즈를 통해 중년안 자가진단과 눈 관리 요령 등을 알아본다.우선, 신문 책 볼 때 점점 멀리서 보거나 스마트폰 문자메시지가 흐릿하게 보인다면 중년안을 의심해 봐야 한다. 시간이 지날수록 글씨가 흐릿해지거나 가까운 곳을 보고 작업시에 눈을 찡그리거나 비빈다든지, 어둡거나 피곤할 때 시력이 뚜렷하게 떨어지는 것을 느낀다면 이 또한 중년안의 신호탄이다. 중년안은 노화의 현상으로 완벽 치료는 어렵지만 꾸준한 눈 관리로 발병 시기를 늦출 수 있다.업무상 어쩔 수 없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