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30 (토)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기타

2023 글로벌 제약∙바이오산업 회복지수 1위는 스위스,2위 미국,3위 영국...대한민국은?

싸이티바, 한국은 아시아 3위 , 정부 정책·규제 분야는 상위권인 반면 인적자원, R&D 생태계는 개선 필요

글로벌 생명과학 기업 싸이티바(Cytiva)는 지난 13일  ‘2023 글로벌 제약∙바이오산업 회복지수’를 공개했다. '글로벌 제약·바이오산업 회복 지수(Global Biopharma Resilience Index)'는 싸이티바가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의 리서치기관인 롱지튜드와 2021년 첫 공개 후, 2년만에 발표되었다. 

싸이티바가 발표한 회복지수는 한국을 포함한 22개국 제약·바이오 기업 임원 및 보건·의료 정책 관계자 1,25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업계 전문가의 심층 인터뷰를 토대로 만들어졌다. 조사 참가자들은 공급망 회복력, 인적자원, R&D 생태계, 제조 민첩성, 정부 정책·규제 등 총 5가지 항목에 대한 국가별 현황에 최저 1점에서 최고 10점까지 점수를 부여했다.


올해 전 세계 회복지수는 10점 중 6.08로, 2021년(6.6) 대비 전반적으로 하락했다. 팬데믹 기간 동안 상당한 투자가 이루어진 공급망 회복력과 제조 민첩성은 소폭 상승했지만, 인적자원, R&D 생태계, 정부 정책·규제는 하락해 여전히 과제로 남아있음을 보여줬다. 국가별로는 스위스(6.98), 미국(6.96), 영국(6.78) 순으로 제약·바이오 산업 환경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에 크게 의존하는 태국(5.36), 사우디아라비아(5.20), 아랍에미리트(5.17)는 낮은 순위를 차지했다. 아시아 국가에서는 싱가포르(6.41)가 가장 높은 순위를 차지했으며, 일본(6.06), 한국(6.05)이 그 뒤를 이었다. 


2021년 세계 7위, 아시아 1위를 차지했던 한국은 올해 세계 12위, 아시아 3위로 순위가 하락했다. 정부의 정책적 지원 및 규제 개혁 면에서는 긍정적 평가를 받아 상위권인 4위를 유지했다. 반면, 인적자원(16위), R&D 생태계(12위) 분야에서는 지수가 2년 전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하락했다. 순위 하락은 우수 인재 확보, 공공 및 민간의 교육 인프라 마련, R&D 파트너 모색 및 오픈 이노베이션 현실화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공급망 회복력도 14위, 제조 민첩성도 15위에 머물렀다. 

싸이티바 코리아 최준호 대표는 “전 세계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파트너로서 국내외 산업의 의견과 직면과제를 경청 및 이해하고, 궁극적으로 보다 의미 있는 협력 방안을 모색하고자 이번 지수를 발표했다”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한국 제약·바이오 시장에서 인재 양성 및 R&D 생태계 환경 개선 노력은 정부와 업계, 학계가 함께 해결해 나가야 할 가장 시급한 과제”라고 전했다. 이어, “싸이티바도 인천 송도에 설립한 APAC 패스트트랙센터 및 다양한 산학협력 프로그램을 통해 국내 바이오 인재 육성 및 R&D 강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계획을 밝혔다. 

한편, 회복지수를 위해 설문과 함께 진행된 심층 인터뷰에는 제롬 킴 국제백신연구소 사무총장, NIBRT(National Institute for Bioprocessing Research and Training)의 길리안 오 드리스콜(Killian O’Driscoll) CCO등 영향력 있는 업계 전문가 10명이 참여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다산제약,리포좀 기술 개발 이어 특수제형 의약품 연구 개발 탄력 받나 주식회사 다산제약(대표이사 류형선)은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이하 KBIOHealth, 이사장 이명수)과 8월 27일 다산제약 아산공장에서 특수 제형 의약품의 공동연구 및 활성화를 위해 전략적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체결식에는 다산제약의 류형선 대표이사, 정인성 생산본부장, 김수진 제조기술실장, 류호준 개발본부장을 비롯해 KBIOHealth의 이명수 이사장, 김지훈 바이오공정개발부 부장 등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양 기관의 연구 인프라와 전문성을 기반으로 ▲첨단·특수제형 의약품 공동연구 및 타당성 평가 ▲공동개발 및 국내외 사업화 전략 수립 ▲기술이전 및 생산 인프라 활용 ▲글로벌 시장 진출 협력 강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다. 이를 통해 바이오의약품, 나노의약품, 장기지속형 주사제 등 특수 제형 의약품 분야와 더불어 다산제약의 DDS 고유 기술을 활용한 펩타이드 의약품 분야에서 공동연구와 사업화를 적극 추진한다. 양사는 이러한 기술 협력 강화를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과 상호 이익을 도모하고, 첨단 의약품의 경쟁력 강화와 글로벌 상용화에 기여한다는 데 목적이 있다. 류형선 대표이사는 “KBIOHealth와의 협력을 통해 다산제약의 연구개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코로나19 팬데믹, 국내 불면증 환자 수면제 사용 큰폭 증가..."부작용 모니터링 필요” 코로나19 팬데믹이 국내 불면증 환자의 수면제 사용을 크게 증가시킨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대병원·서울의대 공동 연구팀은 전국 814만여 명의 불면증 환자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팬데믹 기간 전체 연령대에서 수면제 처방량이 기존 예측치를 초과했으며, 여성과 70세 이상 고령층은 절대 처방량이 많고, 18~29세 젊은 성인층은 예측치 대비 증가폭이 가장 컸다고 밝혔다. 불면증상은 10명 중 3~5명이 생애 어느 시점에서든 겪을 만큼 흔한 증상이다. 특히 잠들기 어렵거나, 자주 깨거나, 새벽에 일찍 깨는 증상이 반복되는 대표적인 수면 장애인 불면은 장기화될 경우 우울·불안 등 정신건강 문제뿐 아니라 신체 질환 악화와 삶의 질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그동안 해외에서는 팬데믹 동안 수면제 사용이 증가했다는 연구들이 있었지만, 국내에서 팬데믹 이전 처방 추세를 기반으로 예측치와 실제 처방량을 비교한 대규모 분석은 이번이 처음이다. 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유진 교수와 서울의대 예방의학교실 신애선 교수 공동 연구팀(공동 제1저자: 서울시보라매병원 신지윤 교수, 서울의대 전소연 연구원)은 국민건강보험 데이터를 활용해 2010년부터 2022년까지 국내 18세 이상 불면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