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암병원은 지난달 26일 의생명연구원 윤덕병홀에서 암 치료 관련 최신 지견을 공유하고 국제화 시대에 걸맞은 세계적인 암병원으로의 성장을 도모하기 위해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고 5일 밝혔다. ‘The Role of Leading Cancer Hospitals’를 주제로 열린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한국 서울대병원 ▲미국 CSMC(Cedars-Sinai Medical Center) ▲일본 CIH(Cancer Institute Hospital) ▲중국 PUCH(Peking University Cancer Hospital) 등 해외 유수 의료기관의 소속 의료진들이 연자 또는 좌장으로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제 1세션에서는 일본, 미국, 중국, 한국에서 선도적인 암 치료 기관의 역할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Takeshi Sano 교수(CIH), Dan Theodorescu 교수(CSMC), Jiafu Ji 교수(PUCH), 양한광 교수(서울대병원)가 연자로 나서 각국을 선도하는 암 치료 전문 의료기관에 대해 발표했다. 제 2세션에서는 위암을 주제로 위장관외과 박도중 교수와 Jun Gong 교수(CSMC)가 공동좌장을 맡았다. Miguel Burch 교수(CSM
케이메디허브(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이사장 양진영)가 의료분야 공동연구 협력 및 연구 인력의 상호교류를 위하여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과 함께 2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케이메디허브 전임상센터는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과 함께 유전자변형생물체의 연구 활용과 퇴행성 질환모델을 이용한 전임상 평가 분야에서 협력을 확대하고 있으며, 의료분야 전문 인력양성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번 협약에 따라 양 기관은 △공동연구 발굴 및 수행 △연구 인력의 상호 교류 △연구시설 및 장비의 공동 활용 △양 기관의 원활한 사업 추진을 위한 상호 협력 활동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서울대병원 발전후원회(회장 오병희)가 지난달 31일 웨스틴 조선 서울에서 ‘2023 서울대병원 발전후원의 밤’ 행사를 진행했다. ‘뜻을 함께, 미래를 함께’라는 부제로 진행된 이번 행사는 대한민국 의료의 미래를 위해 교육·연구·진료·공공의료의 비전을 함께 만들어 가는 후원인께 감사와 존경을 표하기 위해 개최됐다. 행사에는 오병희 서울대병원 발전후원회장, 유홍림 서울대학교 총장, 김영태 서울대병원장을 비롯한 약 300여 명의 후원인과 사회 각계 인사들이 참석해 나눔의 가치를 공유하는 뜻깊은 시간을 보냈다. 1막 행사는 ‘함께 펼치다’라는 부제로 소프라노 신델라와 싱어즈의 공연으로 막을 열었다. 이어 오병희 발전후원회장과 유홍림 총장은 “후원인의 따뜻한 나눔은 국가 의료 발전과 인류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향한 초석이 될 것”이라고 축하의 말을 전했다. 이어진 2막 행사는 ‘함께 이어가다’라는 부제로 가수 이적과 김연자가 후원인을 위해 감동적인 무대를 선사하며 마무리됐다. 김영태 병원장은 “서울대병원은 국가중앙병원이자 4차 진료 중심병원으로서 지난 138년간 우리나라 의료 발전을 선도해왔다”며 “이 모든 것이 가능했던 것은 같은 목표를 향해 달려온 후원인 여러분
케이메디허브(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이사장 양진영)에서 지원한 대사표적항암제가 국내 임상 승인을 받았다고 전했다. 케이메디허브 의약생산센터에서는 ㈜뉴캔서큐어바이오사의 신약 개발을 위해 제제개발, 기준 및 시험방법 개발, 의약품 생산 및 품질관리 등 의약품 개발 전과정을 지원하였다. 더불어 임상시험 계획 승인을 위한 제조 및 품질에 관한 자료(CMC)도 함께 작성하여 원활하게 승인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뉴캔서큐어바이오는 2020년 국립암센터내에 설립된 항암치료제 개발 신생창업기업이며, 종양세포에만 선택적으로 작용하여 세포 성장을 감소시키는 소분자 대사표적항암제 ‘KN510713’를 개발 중이다. 케이메디허브 의약생산센터는 GMP 제조시설을 갖추지 못한 국내 제약·바이오 벤처 기업들도 임상단계에 진입할 수 있도록 개발단계부터 생산, 인허가 지원에 이르는 전 과정을 지원하고 있다. 관련 문의는 cdmc-oasis@kmedihub.re.kr을 통해 진행 할 수 있다.
안전성평가연구소(소장 정은주)는 정부가 추진하는 초격차 스타트업 1000+프로젝트 중 혁신분야 창업패키지 지원사업 바이오분야 참여기업의 글로벌 사업화 지원을 위해 재미한인제약인협회(KASBP. Korean American Society in Biotech and Pharmaceuticals. 회장 정승원)와 적극 협력키로 했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양 기관은 미국 보스톤에서 5일부터 나흘간의 행사로 개최되는 바이오USA 행사의 한국바이오스타트업 홍보관 개관의 사전 행사로 5일 현지에서 협약식을 개최했다고 덧붙였다. 2001년 5월에 설립된 KASBP는 현지 제약산업의 중심지인 보스턴, 샌프란시스코, 뉴저지를 비롯, 필라델피아, 코네티컷, 워싱턴 D.C., 일리노이,샌디에고에 총 8개의 지부를 둔 비영리단체로, 현지 바이오기업 및 제약기업 종사 한인 과학자는 물론 미국 FDA, 국립보건원(NIH) 등 미국 정부기관 근무자를 포함해 전체 2,300여 명의 회원을 확보하고 있다. KASBP는 생명과학 분야의 다양한 학술정보 교류와 협력 모색을 추구하며,회원간의 네트워크를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학술 활동을 주요 업무뿐만아니라 최근 들어서는 한국의 바이오테크, 제약회
대표적인 눈꺼풀 수술인 안검하수 수술과 쌍꺼풀 수술은 그 차이점을 정확히 구분하기 어렵다. 안검하수는 눈 근육에, 쌍꺼풀은 피부층에 시행되는 수술로 안검하수 수술을 한다고 해서 무조건 쌍꺼풀이 생기는 것은 아니다. 안검하수 수술은 눈꺼풀 올림근 근육의 부착위치나 길이를 조작하여 눈뜨는 힘을 강하게 해주는 수술로 눈꺼풀 심층부에서 이루어진다. 쌍꺼풀 수술은 늘어져 있는 피부 아래 부분을 심부조직에 고정해 주고, 이렇게 고정된 쌍꺼풀 라인이 눈을 뜰 때 위쪽으로 같이 끌려 올라가게 해줌으로써 늘어진 눈꺼풀을 접히게 해주는 수술로 비교적 얕은 층에서 이루어진다. 창문에 비유해 보면, 안검하수 수술은 창문 자체를 크게 열어주는 것이고, 쌍꺼풀 수술은 그 앞에 있는 커튼을 접어 올리는 것과 비슷하다. 안검은 눈꺼풀의 한자어다. 눈꺼풀처짐증이라고도 하는 안검하수는 눈을 뜰 때 사용하는 근육의 힘이 약해져 검은 눈동자가 윗눈꺼풀에 가려지는 현상을 말한다. 기존에 쌍꺼풀이 있던 사람도 상황에 따라 그 모양이나 높이가 변할 수 있다. 눈꺼풀 올림근의 힘이 약해져 눈을 뜨는 힘이 부족해지면, 심부조직에 부착된 쌍꺼풀 주름도 충분히 끌려 올라갈 수 없다. 따라서 이 쌍꺼풀 주름
제31차 영•호남 산부인과 학회(회장 조해중)가 지난 6월 2일(금) 원광대학교 보건대학 WM(원광테크노마켓)관 4층 컨벤션홀에서 열렸다. 이날 학회는 부산, 경남, 대구, 경북, 전남, 전북에 있는 모든 대학병원의 산부인과 교수들과 2, 3차 병원의 산부인과 진료과장, 전공의들이 참석한 가운데 성료됐다. 영•호남 학회가 원광대학교에서 개최된 건 이번이 세 번째다. 영•호남 학회는 그동안 영남•호남지역 회원들의 학술교류와 친목 도모에 큰 역할을 했었다. 이번 학회에서 산과, 일반부인과, 부인종양학 분야의 미래를 이끌어갈 연자들이 각 분야의 최신 지견을 발표하였고, 참석자들이 토론할 수 있는 시간들도 마련됐다. 또한 “코로나도 풀렸으니 부인과 교수가 알려주는 알아두면 쓸모있는 여행의 팁”(이화여대. 주웅 교수)이란 주제의 특별 강연도 있었다. 조해중 영•호남 산부인과학회 회장은 “출생률 감소 등 여러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여성의 건강을 위해 진료와 연구에 최선을 다하는 영•호남 산부인과 학회가 되겠다”고 소감을 전했다.
테니스 프로그램이 방송을 타고 있다. 위닝샷(승리를 결정짓는 타구, winning shot)을 꿈꾸며 지천명의 50대가 코트를 누빈다. 그러나 멋있게 공격 포인트를 올리며 환호하는 와중에도 어깨관절은 마모되고 있다는 사실을 잊지 말자. 어깨관절은 척추관절・고관절과 함께 우리 몸의 3대 관절로, 모든 육체노동과 스포츠 동작에 두루두루 이용된다. 이중 회전근개는 어깨관절을 싸고 있으면서 어깨의 안전성과 운동에 관여하는 근육을 말한다. 노화, 반복적 사용으로 인한 퇴행 등으로 회전근개 힘줄 파열 환자는 계속 증가하고 있는데, 그중 스포츠 인구의 증가 등이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거론되고 있다.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정형외과 김명서 교수와 함께 회전근개 힘줄파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본다. 50~60대 회전근개증후군 환자 급증 회전근개는 팔을 움직이게 하는 4개의 근육 조합을 말한다. 주요 기능은 팔을 올리는 동작, 그리고 안쪽 또는 바깥으로 돌리는 회전기능을 하기에 회전근으로 불린다. 뼈에 붙어 있는 회전 근육의 힘줄이 노화 등의 퇴행성 변화가 일어나 파열에 이르게 되는 것을 회전근개 질환이라고 하는데, 4개의 회전근개 힘줄 중 하나라도 끊어지거나 손상되면 어깨 통증이 유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신경과 강성훈 교수 공동연구팀(삼성서울병원 신경과 서상원 교수, 미국 USC 김호성 교수)이 딥러닝 기반의 뇌 연령 예측 플랫폼을 개발했다. 대사증후군이라고 불리는 심장대사증후군은 심혈관질환과 당뇨 등의 대사질환의 위험을 높이는 여러 가지 증상을 말하는데 대표적으로 당뇨병, 고혈압, 비만 등 다양한 질환들이 있다. 연구에 따르면 인종 및 성별에 따라 심장대사증후군 및 이와 관련된 치매의 유병률이 다르다고 알려져 있고, 특히 심장대사증후군과 이와 관련된 뇌혈관질환 발생은 동양인에서 높다고 알려져 있으나, 그에 반해 인종 및 성별에 따른 심장대사증후군이 뇌 연령의 노화의 미치는 영향의 차이는 상대적으로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이러한 인종 및 성별에 따른 삼장대사증후군이 뇌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고려대 구로병원 신경과 강성훈 교수 공동연구팀은 한국과 영국의 인지정상 대상자 15,662명(한국: 5,759명, 영국:9,903명)의 뇌 MRI 촬영영상을 분석해 뇌 연령 예측을 위한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심장대사증후군이 뇌 연령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연구결과 당뇨는 인종 및 성별에 관계없이 BAI (뇌연령지표, Brain Age Inde
자가면역질환이란 우리 몸이 자신의 정상 조직·세포를 공격 대상으로 여기고 비정상적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것을 말한다. 염증성 근육염은 자가면역 기전에 의해 근육과 주변 조직이 공격을 받아 염증이 발생하는 근육질환으로 염증성 근육병증으로도 불린다. 다발성 근육염과 피부근염을 비롯해 드물게 나타나는 봉입체근염, 면역매개괴사성 근염 등이 여기에 속한다. 염증성 근육염이 발생하면 근육조직이 파괴돼 힘이 빠지고 근육통이 발생한다. 또 시간이 지나면서 근육량이 줄어 근육 위축이 나타나기도 한다. 김문영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류마티스내과 교수(사진)는 “염증성 근육염은 몸의 면역체계에 이상이 생겨 자신의 근육을 스스로 공격하는 양상으로 면역체계가 변형돼 발생하는 자가면역질환이다”며 “다행히 최근 새로운 치료 약제의 도입으로 치료 결과가 많이 향상되고 있고, 조기 발견해 치료할 경우 예후도 좋은 만큼 증상이 의심되면 병원을 찾아 꾸준히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근육 조직검사로 진단… 암(癌) 동반 많아 검사 필수= 염증성 근육염의 원인은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여러 가지 유전적 원인과 환경적 요인이 합쳐져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다발성 근육염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