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인공광합성 기술 관련....신소재 개발 성공
숙명여자대학교 최경민 교수(사진) 연구팀이 친환경 미래기술로 주목받는 인공광합성을 구현하기 위한 신소재를 개발했다. 향후 태양에너지를 이용하는 연관 산업에 널리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최경민 교수와 미국 UC버클리대 화학과 Omar M. Yaghi 교수 및 Peidong Yang 교수 공동연구팀은 “금속유기구조체를 플라즈모닉 나노입자에 코팅해 새로운 형태의 광촉매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신진연구자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았고, 관련내용은 미국화학회가 발간하는 화학분야 톱10 학술지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IF:13.038)에 발표됐다. (논문명: Plasmon-Enhanced Photocatalytic CO2 Conversion within Metal-Organic Frameworks Under Visible Light) 태양에너지를 이용해 이산화탄소를 고부가가치의 화학소재 및 연료로 전환시키는 인공광합성 기술은 친환경적인 미래기술로 부각되고 있다. 최 교수에 따르면 이러한 기술을 구현하려면 태양빛을 받아 원하는 화합물의 합성을 위한 촉매작용을 하는 광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