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6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정신분열병 치료, 재발방지 집중해야 비용 효과적

서울대병원 등 11개 기관 사용 330명 환자 치료 비용 분석

한국의 11개 대학병원에서 치료받은 환자들의 치료비용을 비교 분석한 결과 안정화된 환자보다 재발환자가 7배 가량 치료비용이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사실은 서울대병원 신경정신과 권준수 교수 등이 대한정신약물학회지를 통해 안정화된 환자와 재발 환자 각 165명씩의 6개월간 발생한 의료비용을 비교 조사한 결과 드러났다.

이는 한국에서 정신분열병 치료에 있어서 최초의 비용 비교분석 연구로, 권준수 교수는 이 연구가 정신분열병 치료에 투여되는 비용의 효율성을 재고할 수 있는 초석이 될 수 있을 것이라 밝혔다.

정신분열병은 전 국민의 1%가 앓고 있는 병으로 전체 국내 의료비용의 1.6%가 그 치료에 투입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는 직접비만을 고려한 것으로 영구장애인의 10%, 노숙자의 14%를 정신분열병 환자가 차지하고 있어, 직간접적인 비용을 다 포함하면 훨씬 더 상당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2005년에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직접비용이 4286억원, 간접비용을 포함하면 우리사회가 3조 2510억원을 부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발환자의 의료비용 중 입원비와 식대 등 안정기 환자에게 포함되지 않는 항목을 제외하더라도 재발환자의 6개월간 의료비용은 3,365,070원으로 안정기 환자의 1,064,122원에 비해 유의미하게 많았다.

조사 기간 중 환자군에 따른 외래 방문 횟수를 보면 재발환자가 평균 6.6회, 안정기 환자가 7.3회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1회 방문당 비용의 경우 재발환자가 129,071원, 안정기환자가 163,490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재발환자의 6개월간 입원으로 발생하는 비용(병실/간호사비용,입원식대)은 평균 3,709,857원으로 안정기 환자 치료비용 전체의 3배를 넘었고, 재발환자 의료비용의 52.4%를 차지해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권준수 교수에 따르면 정신분열병은 그 특수성으로 인해 국가가 외면할 수 없는 질환이기 때문에 의료자원의 효율성, 비용효율성에 대한 연구가 선진사회에서는 90년대 후반부터 꾸준히 있어왔다고 한다.

그 결과 재발을 방지하고, 입원일수를 줄일 수 있는 방향으로의 정책적인 장려책들이 많이 고안, 적용되고 있다고 한다.

권준수 교수는 “정신분열병의 경우 의료비용이 재발환자에서 매우 크고 재발환자의 의료비용 중 입원 관련 비용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고려할 때, 치료초기에 환자에게 맞는 약물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재발에 의한 입원을 방지하여, 궁극적으로 정신분열병에 투입되는 의료비용을 줄일 수 있는 합리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관련기사


배너

행정

더보기
최보윤 의원 ,국민이 체감하는 ‘ 진짜 의료혁신 ’ 정책 대안 모색 국민의힘 최보윤 국회의원은 국민이 원하는 진짜 의료혁신 토론회를 오는 8월 27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토론회는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의료혁신의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첨단기술의 발전이 의료 현장에 가져오는 변화를 점검하고 이에 대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이번 토론회는 의료 행위의 변화를 주제로 국회의원회관 제9간담회의실에서 오후 2시부터 4시까지 진행되며, 의료 현장에서 AI와 데이터, 디지털치료제가 진료 도구로 자리잡아가는 현실을 살펴보고 안전하고 효과적인 활용을 위한 정책 방향을 모색한다. 주제발표에는 강은경 카카오헬스케어 상무이사가 더 나은 가치를 위한 의료마이데이터를, 김광준 에이아이트릭스 대표가 환자 예후 예측 인공지능 기술의 현주소와 미래를 발표할 예정이다. 이어지는 토론에는 좌장으로 최호진 한양대학교구리병원 교수가 참여하며, 강성지 웰트 대표가 디지털치료제가 바꾸는 진료 패러다임을, 선재원 나만의닥터 대표가 의료마이데이터로 여는 맞춤형 비대면진료 활성화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김용식 퍼즐 AI 대표와 김은정 국회입법조사처 조사관, 신채민 한국보건의료연구원 본부장이 패널로 참여해 다양한 관점에서 의료혁신의 방향을 논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