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황반변성에 의한 시력 저하 갈수록 심각 ... '이것' 줄였더니 깜짝 효과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연동건 교수팀,“흡연 줄이면 황반변성 부담 줄어”글로벌 질병 부담 연구 세계 최초 수행 1990~2021년까지 30년 동안 데이터 분석해 종합적으로 제시 2050년까지 황반변성으로 인한 시력 손실 2배 이상 증가 예측

황반변성에 의한 시력 저하 갈수록 심각 ... '이것' 줄였더니 깜짝 효과

경희대학교(총장 김진상) 의과대학 연동건 교수 연구팀(의과대학 정이든 본과 4학년, 박서영 연구원, 연세대 신재일 교수)이 전 세계 204개국의 글로벌 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해 황반변성(Age-related Macula Degeneration, AMD)으로 인한 시력 저하의 세계적 질병 부담을 연도, 성별, 연령 등으로 분석해 발표했다. 세계 최초 성과로 워싱턴대 보건계량평가연구소(Institute for Health Metrics and Evaluation, IHME), 게이츠 재단, 하버드의대 등 세계적 연구팀 370여 명이 참여한 대규모 연구였다. 연구 성과는 세계 최고 권위의 국제 의학 저널인 『The Lancet Global Health』(IF: 19.9) 7월호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1990년부터 2021년까지 30년 동안의 데이터를 활용해 황반변성으로 인한 시력 저하의 유병률, 이에 따른 건강 손실 부담의 변화를 분석했다. 황반변성은 망막의 중심부로 시력의 대부분을 담당하는 ‘황반’이 병리학적, 해부학적으로 퇴화 또는 퇴보하는 질환이다. 고소득 국가에서 주요 시력 저하의 원인으로 꼽힌다. 아직 뚜렷한 예방법이 없고, 고령화에 따라 발병률이 증가한다. 이전의 연구들은 일부 국가나 지역에 국한된 자료를 다뤘다. 연동건 교수 연구팀은 전 세계 204개 국가 대상, 1990년부터 2021년까지 30년 동안의 데이터를 분석해 황반변성으로 인한 시력 손실이 어떻게 변해왔는지 종합적으로 제시했다. 연구팀은 향후 2050년까지 황반변성에 의한 시력 저하의 변화도 예측했다. 2021년을 기준으로 전 세계 약 800만 명이 황반변성으로 시력 저하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 수치가 2050년까지 약 2,100만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황반변성의 주요 위험 요인 중 하나는 ‘흡연’이다. 연구팀은 흡연이 황반변성에 미치는 영향도 정량적으로 분석했다. 연구 결과 흡연율이 감소할 경우, 전 세계의 황반변성으로 인한 시력 저하를 약 9%까지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측했다. 특히 흡연율이 높은 저소득 국가에서 큰 예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연동건 교수는 “이번 연구는 황반변성에 의한 시력 저하를 세계적 수준에서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흡연을 줄이는 것이 황반변성 예방에 효과적인 공중보건 전략이 될 수 있음을 강조했다. 특히 자원이 부족한 저소득 국가에서 정책적 개입이 시급하다”라며 “이 연구가 황반변성에 대한 예방 전략 수립과 국제 보건정책 수립에 중요한 과학적 근거가 될 수 있다”라고 강조했다.





배너

속보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오늘의 칼럼.성명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