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의 의약품 개발을 현실화 시킬수 있는 가잘 빠른 해답을 줄수 있는 것은 무엇일까. 전문가들은 하나같이 일부 부작용에도 불구하고 인테페론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인터페론은 바이러스들에 의해 침투당한 세포들에 의해 생겨나는 항(抗)바이러스 단백질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인터페론 알파, 베타, 감마, 오메가 등으로 분류한다.
최근 인테페론을 이용한 의약품 개발은 시간이 지날수록 늘어나고 있는데, 이는 각국이 여기에 많은 연구자금을 투자라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이에따라 현재까지 인터페론 알파 베타 감마를 이용해 만들어진 제제는 (아래 표 참조) 상당수 였으나 인터페론 오메가를 이용, 만든 제제는 아직 없다.
알파 인터페론은 단핵세포 및 임파구에서, 베타 인터페론은 섬유아세포에서, 감마인터페론은 T림파구에서 만들어지고 이들은 서로 다른 물리학적 성질 및 항원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인터페론 오메가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은 밝혀내지 못해,이르 이용한 제제 개발도 늦어지고 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런데 최근 국내 연구진이 인터페론 오메가에 대한 메카니즘등 신비의 퍼즐을 풀어 국내외 학계의 비상한 관심을 모으는 한편, 이를 활용한 의약품 개발 가능성을 높여주고 있다.
화제의 중심 인물은 연구환경이 민간에 비해 열악한 것으로 알려진 식약청 첨단바이오제품과 백선영과장팀
이다.
식약청(청장 노연홍)은 2009년도 연구사업 수행 결과 최근 새로운 항바이러스 치료제의 후보물질로 주목받고 있는 인터페론 오메가의 항바이러스 작용에 대한 메카니즘을 최초로 밝히고 그 연구성과를 올 3월 국제저널인 ‘Pharmacology'에 게재했다고 밝혔다.
인터페론은 바이러스의 분열을 억제하는 물질로서 바이러스가 동물세포에 침입하는 경우 방어기능으로 그 동물세포에서 인터페론을 생산하여 바이러스의 분열을 막는다고 알려져 있다.
그간 인터페론은 알파 및 베타 제제가 널리 이용되고 있었던 반면 인터페론 오메가에 대한 구체적인 메카니즘 및 의약품으로서의 가능성에 대한 연구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었다.
인터페론 오메가의 항바이러스 작용과 관련된 신호전달 물질 및 단백질 발현 조절 메카니즘에 대한 이번 연구에서는 인터페론 오메가를 인체내에 투여하는 경우 바이러스 단백질의 합성을 억제시켜 항바이러스 효과를 나타내는 것 뿐만 아니라, 항바이러스 작용을 하는 신체내의 단백질(Mx1/2) 합성을 증가시키는 작용에 의해서도 항바이러스효과가 나타났다.
특히 바이오의약품인 인터페론 오메가는 기존의 인터페론 알파와는 달리 합성의약품 항바이러스 제제인 리바비린(rivabirin)과 병용 투여시 인체의 정상세포를 의약품의 독성으로부터 보호하는 작용을 보여 주고 있어 새로운 타입의 병용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식약청은 이번 연구결과가 항바이러스 효능을 갖는 새로운 타입의 인터페론 제제 개발 가능성을 제시하였으며 연구의 기초연구 자료로도 응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표. 인터페론 분류 및 인터페론 제제
물질명 |
제품명 |
인터페론 알파 |
인터맥스 알파, 알파페론, 인트론 등 |
인터페론 베타 |
씨제이 인터페론 베타, 베타페론 등 |
인터페론 감마 |
인터맥스 감마 |